사회 사회일반

서울대 연구진, 입자물리학 표준모형의 오류 발견

서울대 연구진이 물리학의 기본이론인 ‘표준모형’에 오류가 있다는 단서를 발견했다. 앞으로 표준모형을 대체할 ‘초표준모형’을 정립하는 단서가 될 것으로 보인다.


서울대 격자게이지이론 연구단은 20일 중성 케이온 입자에서 ‘CP대칭성’을 위반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상수를 계산한 결과, 이론치와 실험치의 차이가 표준편차의 3.4배에 달한다고 밝혔다. 이론과 실험 결과의 차이가 크다는 것은 표준모형에 오류가 있다는 걸 뜻한다.

관련기사



자연계에는 중력, 전자기력, 강력, 약력 등 4가지 힘이 있는데 ‘표준모형’은 이 힘들 간의 상호작용을 설명하는 이론이다. 지난 2013년 힉스입자가 유럽핵입자물리연구소 연구팀에 의해 발견되면서 표준모형은 완성된 것으로 받아들여졌다. 하지만 서울대연구팀이 슈퍼컴퓨터를 통해 이 같은 표준모형에 오류가 있다는 점을 일부 밝혀낸 것이다. 서울대 연구단 관계자는 “이번 실험은 표준모형의 기본가설 중 하나 또는 다수가 붕괴하는 것을 뜻한다”며 “동시에 초표준모형의 존재에 대한 중요한 하나의 단서가 된다”고 설명했다. 초표준모형은 표준모형이 설명하지 못 하는 부분까지 설명하는 새로운 이론이다.

서울대 연구단의 연구 결과는 미국물리학회가 발행하는 학술지 ‘피지컬 리뷰 D’(Physical Review D)에 이날 발표됐다.


강동효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