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한계가구 158만 가구...평균 1억7,700만원 빚져

금융부채 전체가구의 14.7% 차지

평균금융부채 전년대비 880만원 늘어

소득으로 빚을 갚기 어려운 가구가 158만 가구에 이르고, 이들은 평균 1억7,700만원의 빚을 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9일 한국은행이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오제세 더불어민주당 의원에게 최근 제출한 ‘최근 4년간 한계가구 변동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3월 기준 한계가구는 금융부채가 있는 전체 1,072만 가구의 14.7%인 158만 가구로 추산됐다. 이는 한은과 통계청, 금융감독원이 전국 2만 가구를 대상으로 벌인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를 토대로 한 분석 결과다.

한계가구는 금융부채가 금융자산보다 많아 금융 순자산이 마이너스 상태이고, 처분 가능한 소득 대비 원리금(원금과 이자) 상환액 비중이 40%를 넘는 가구를 말한다. 한계가구는 2014년 3월 150만 가구(전체 금융부채 보유가구의 13.8%)에서 1년 사이 8만 가구 늘었다. 한계가구의 금융부채 합계는 지난해 3월 현재 279조원으로 1년 전(252조원)과 비교해 27조원이나 증가했다. 전체 금융부채에서 한계가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2014년 33.3%에서 지난해 34.7%로 높아졌다.


지난해 한계가구의 평균 금융부채는 1억7,706만원으로 전년의 1억6,826만원에서 5.2%(880만원) 늘었다. 이는 작년 비한계가구 평균(3,085만원)의 5.7배다.

관련기사



한은은 한계가구 증가가 바로 가계 부채 악화로 연결되는 것은 아니라고 설명했다. 원리금 분할상환이 늘면서 한계가구 규모가 늘어난 측면이 있다는 것이다. 실제 한계가구 중에는 고소득층이나 부동산 등 실물자산을 보유한 고자산층도 포함돼 있다.

그러나 한계가구는 경기 둔화, 부동산 가격 하락, 금리 인상 등으로 시장상황이 변하면 실물자산을 팔아 대응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점에서 잠재적인 위험군으로 꼽힌다. 특히 금융기관 3곳 이상에서 빚을 진 다중채무자나 자영업자, 저소득층은 큰 타격을 받을 수 있다. /김상훈기자 ksh25th@sed.co.kr

이연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