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자영업자 '눈물의 폐업' 43%가 음식·소매업

2015 국세통계연보

2명 중 1명 '사업 부진'에 문 닫아

폐업하는 자영업자 10명 가운데 4명은 음식점업이나 소매업을 운영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영업종 자체가 경기에 민감한데다 공급과잉을 겪는 탓에 차별화가 안 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10일 국세청의 2015년 국세통계연보를 보면 지난 2014년 폐업한 자영업자(개인 사업자)는 68만604명으로 집계됐다. 14개 업태별로 보면 식당을 운영하다가 접은 자영업자가 15만6,453명으로 전체 자영업 폐업 가운데 23.0%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편의점·옷가게 등 소매업이 14만366명으로 그 뒤를 이었다. 소매업 폐업자는 전체의 20.6%로 집계됐다. 음식업과 소매업 폐업 자영업자가 전체의 43.6%에 달한다는 설명이다.

소매업 다음으로는 서비스업(11만3,319명), 부동산임대업(8만578명), 운수·창고·통신업(5만2,327명) 순이었다.

폐업 사유는 사업 부진이었다. 음식점업을 그만둔 자영업자 2명 중 1명(50.7%)이 사업 부진을 폐업 사유로 꼽았다.

소매업도 50.6%가 사업이 잘되지 않아 문을 닫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당이나 소매업을 운영하던 자영업자의 폐업이 많은 것은 이들 업종의 진입 장벽이 낮아 자본금만 있으면 창업에 나서기 쉽기 때문이다. 특히 은퇴 후 마땅한 노후 준비가 되지 않은 베이비붐세대(1955∼1963년생)가 이들 업종을 중심으로 창업 전선에 뛰어들면서 경쟁이 심화하는 양상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도매 및 소매업 사업체 수는 2006년 86만5,045개에서 2013년 96만388개로 10만개 가까이 늘었다. 같은 기간에 숙박 및 음식점업 사업체도 62만1,703개에서 68만6,225개로 6만개 이상 증가했다.

이근태 LG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경기가 좋지 않은 상황에서 이들 업종의 공급만 늘어 폐업에 이르게 되는 것"이라며 "노후 대비 사회보장 시스템을 강화하고 서비스 산업을 육성하는 등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세종=박홍용기자 prodigy@sed.co.kr


관련기사



박홍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