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北리스크 겹친 금융시장] "예고된 발사… 금융시장 영향 제한적"

■ 거시경제 금융회의

추가 도발 등 이상징후땐 신속 시장안정조치 단행

긴급 거시경제금융회의6
최상목(왼쪽 세 번째) 기획재정부 1차관이 10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북한 미사일 발사와 관련해 열린 긴급 거시경제금융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이호재기자


정부는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발사 이후 연휴 동안 국제금융시장과 국내 실물경제에서 특이 동향이 없었다고 평가했다. 다만 국제사회의 제재와 추가 도발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금융시장의 불안을 확대시킬 수도 있다고 보고 이상징후가 나타나면 신속한 시장안정조치를 취하겠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설 연휴 마지막 날인 10일 서울 은행회관에서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열고 북한발 리스크에 대한 금융시장 영향을 점검했다. 회의를 주재한 최상목 기획재정부 1차관은 "연휴 기간 일본 등 주요국 증시가 큰 폭으로 하락하는 등 국제금융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됐지만 이는 유가 하락, 미국 금리 인상 관련 불확실성 등에 주로 기인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이어 "안전자산 선호현상으로 국가신용위험을 나타내는 한국물 신용부도스와프(CDS) 프리미엄은 상승했으나 원·달러 환율은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다"며 "실물경제도 수출입, 외국인 투자, 생필품 수급 등에 특이 동향이 없다"고 전했다. 지난 5일 대비 9일의 한국 CDS 프리미엄은 뉴욕 시장 종가를 기준으로 70bp(0.01%포인트)에서 76bp로 6bp 상승하고 원·달러 환율은 달러당 1,206원90전에서 1,197원70전으로 0.8% 평가절상됐다.

최 차관은 "북한 리스크는 과거 사례에 비춰볼 때 국내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일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평가"라며 "해외 투자은행(IB)들도 예고된 발사인 점, 한국의 양호한 대외·재정 건전성 등을 고려할 때 한국 경제나 금융시장에 미칠 영향이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고 전했다.

그는 다만 "국제사회의 제재와 추가 도발 관련 불확실성이 실물과 금융시장 불안을 확대시킬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고 중국 경제 불안, 유가 하락 등 다른 대외 리스크 요인과 맞물리면 시장 변동성이 더 확대될 우려도 있다"고 내다봤다.

정부는 이에 따라 24시간 모니터링 체제를 보강하는 동시에 이상징후가 발생하면 상황별 대응계획에 맞춰 신속하고 단호하게 시장안정조치를 취할 계획이다. 이날 회의에는 최 차관 외에 정은보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서태종 금융감독원 수석부원장, 장병화 한국은행 부총재, 김익주 국제금융센터 원장 등이 참석했다. /박홍용기자 prodigy@sed.co.kr


관련기사



김정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