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멀고 먼 개성공단 대체 부지 입주…입지 요건에 맞는 산업단지 구하기 어려워

인건비도 턱없이 높아 인력 구하기 어려워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정부가 대체 부지 마련이라는 대책을 내놓았지만 실효성이 없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지난 11일 정부합동대책반은 정부서울청사에서 이석준 국무조정실장 주재로 첫 회의를 열고 입주기업들의 지원 방안 수립 계획을 논의했다. 이날 합동대책반은 약 84만㎡ 규모의 개성공단 부지를 기존 산업단지에 마련하기 위해 살펴보고 있다고 밝혔다. 새로운 용지를 찾는 것보다 산단 내 미분양 용지에 입주기업들을 수용하는 것이 낫다는 판단에서다. 하지만 정책의 시행이 쉽지 않아 보인다. 한국산업단지공단의 산업단지통계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3·4분기 기준 일반산업단지를 포함한 전국 산업단지 분양률은 94.1%(221만2,000㎡ 중 197만4,000㎡)에 달한다. 산업단지공단에서 직접 운영하는 국가산업단지의 분양률은 98.3%(259만9,000㎡ 중 255만4,000㎡)다. 그나마 남아 있는 미분양지역은 공간이 협소하거나 입지 조건이 좋지 않아 사실상 개성공단 입주업체들이 들어갈 만한 부지가 아니라는 것이 업계 관계자들의 분석이다.

관련기사



강원도(83.5%)와 충청도(89.5%)의 분양률은 80%대로 상대적으로 여유가 있지만 개성공단 입주기업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경공업 부문이 자리 잡기에 적당한 입지조건이 아니다. 실제로 2015년 11월 기준 섬유·의복과 기계, 전기·전자 기업은 서울 구로와 반월, 시화, 남동, 부평 등 수도권 국가산업단지에 70% 이상 몰려있다. 개성공업지구 관리위원회의 가동 기업 현황에 따르면 개성공단 입주기업의 80%가 섬유·의복과 기계 부문이다. 개성공단에서 의류 제조업을 운영하던 신 모씨는 “산업단지 내에 같은 업종이 많이 모여 있어야 인력 구하기도 쉽고 집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며 “부지에 설비를 다시 갖추는데도 최소 1~2년은 걸릴텐데 기껏 마련해놓고 인력을 구하지 못하면 낭패”라고 말했다.

수도권 지역에 대체 부지를 마련한다고 해도 문제다. 수도권 지역의 인건비는 개성공단의 인건비와 비교하면 턱없이 높다. 개성공단 노동자들은 주 48시간 이내 근무에 월 최저임금은 73.57달러로 원화로는 약 8만9,000원이다. 올해 우리나라의 최저임금이 시간당 6,030원이므로 같은 노동시간으로 계산할 경우 월 최저임금은 115만7,000원이 된다. 최저 임금을 기준으로 해도 노동자 한 명당 생산비용이 개성공단보다 13배나 높은 셈이다. 익명을 요구한 한 생활용품 제조업체 대표는 “개성공단에서 고용했던 근로자 수가 800명이 넘는다”며 “정부에서 국내에 부지를 마련해줘도 생산비용이 높아 사업을 접어야 할 판”이라고 성토했다.


백주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