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정책

3월 주총 앞두고… 금융지주 계열사 CEO 인사 요동

"비은행 강화" 최대 현안 속 핵심 계열사 줄줄이 임기 만료

신한·하나 각 7곳 하마평 무성… 투서 등 과열 움직임도

KB는 '김옥찬 사장' 지주 이사회 사내 이사 등재 여부에 관심


국내 금융지주들의 실적발표가 마무리된 가운데 오는 3월 정기주총을 앞두고 금융지주 계열사 최고경영자(CEO) 인사판이 요동치고 있다. 지주 회장이나 은행장 임기가 만료되는 곳은 없지만 금융지주마다 '비은행 강화'가 최대 현안으로 떠오른 상황에서 카드·증권·생명보험 등 핵심 계열사 CEO들의 임기 만료가 줄줄이 돌아오기 때문이다.

특히 각 금융지주가 지난해 말 인사에서 지주 고위임원들이나 은행 부행장급을 상당수 교체한 터라 계열사 대표 자리를 둘러싼 각축전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일부 금융지주에서는 현직 CEO의 임기 연장을 막기 위해 투서가 나도는 등 인사판이 과열되는 움직임까지 감지되고 있다.

14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금융과 하나금융 등 대형 금융지주들이 3월 이사회와 정기주총 등에서 계열사 CEO들을 상당폭 물갈이할 예정이다. KB금융의 경우 지난해 말 인사를 통해 계열사 대표 인사를 마무리했지만 지주 이사회 개편 이슈가 남아 있다.

지난해 2조4,000억원 규모의 순익을 기록하며 리딩뱅크 입지를 다진 신한금융은 신한금융투자를 비롯해 신한생명·신한캐피탈·제주은행·신한데이터시스템·신한아이타스·신한신용정보 등 계열사 7곳의 CEO들이 임기 만료를 앞두고 있다. 그 중에서도 핵심인 신한금투와 신한생명·신한캐피탈 CEO 교체 여부가 최대 관심사다. 전반적으로 실적이 양호해 현 CEO들의 연임 가능성이 거론되지만 강대석 신한금투 사장, 황영섭 신한캐피탈 사장 등이 이미 2연임을 한 터라 세대교체 차원에서라도 교체 가능성에 더 무게가 실린다.

신한지주 안팎에서는 이미 이들 계열사 신임 CEO 후보군이 심심찮게 거론되고 있다. 당초 이동환 전 신한은행 부행장이 신한금투 사장으로, 이신기 전 신한지주 부사장이 신한캐피탈로 가는 시나리오가 유력하다는 말이 돌았으나 최근에는 신한금투 사장으로 김형진 현 지주 부사장도 거론되고 있다. 김 부사장은 지난해 신한은행장 인선 당시에도 유력 후보군에 올랐던 인물이다. 신한지주 내부 사정에 정통한 한 핵심 관계자는 "주력 계열사인 신한금투 사장을 두고 은행과 증권 통합 임원을 맡았던 이 전 부행장이 유력시되다 최근에는 김 부사장이 다크호스로 떠오르는 판세"라고 전했다.

하나금융 역시 하나금융투자를 비롯해 하나카드·하나캐피탈 등 7개 계열사 CEO들의 임기 만료가 다가오고 있다. 하나금융의 경우 특히 하나금투 CEO를 놓고 각축이 치열한 것으로 관측됐다. 당초 장승철 하나금투 대표의 연임이 유력시됐으나 최근 장 대표에 대한 하나금융지주 차원의 감사가 진행된 것으로 확인돼 연임 여부가 불확실한 상황이다. 금융당국의 한 관계자는 "직원 성과급 지급 문제 등과 관련해 장 대표에 대한 투서가 접수돼 지주 차원의 감사를 벌인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며 "감사 결과가 어떻게 나오느냐가 연임 여부에 최대 변수가 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또 앞서 맏형인 KEB하나은행 부행장들이 대부분 교체된 가운데 정해붕 하나카드 사장과 김인환 하나생명 사장의 교체 여부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KB금융의 경우 지난해 말 인사에서 KB국민카드와 KB손보 등 핵심 계열사 대표 인사를 모두 끝냈지만 김옥찬 지주 사장이 최근 취임하면서 3월 주총 때 지주 이사회 개편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현재 KB금융 이사회는 윤종규 회장과 이홍 국민은행 부행장 및 7명의 사외이사로 구성돼 있으며 김 사장은 아직 사내이사에 오르지 않은 상황이다. 앞서 KB금융은 어윤대 전 회장 시절 지주 회장·사장·은행장이 모두 지주 이사회에 속했으나 임영록 전 회장 때는 지주 회장 1인만 사내이사에 속해 논란을 빚은 바 있다.


관련기사



윤홍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