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시리아 휴전 합의, 잉크도 마르기 전에…

정부군 "IS·반군 영토 탈환" 반군 "싸움 멈추지 않을 것"… 군사적 긴장 증폭

국제사회가 시리아 내전 휴전에 합의했지만 정부군과 반군 모두 적대행위를 지속하겠다고 밝혀 휴전이 문서상 약속에 그칠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군과 반군을 지원한 국가들이 '기타 테러조직' 지정을 놓고 합의점을 찾지 못하는 가운데 사우디아라비아가 시리아에 근접한 터키 공군기지에 전투기 편대를 보내면서 오히려 군사적 긴장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14일 AP통신 등에 따르면 러시아·독일·영국 등 국제적시리아지원그룹(ISSG)의 주요 국가들이 휴전 이틀도 되지 않아 합의사항 이행을 비관적으로 전망했다.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이 전일 뮌헨 안보회의에서 적대행위 중단이 이행될 가능성을 49%로 내다보자 필립 해먼드 영국 외무장관은 러시아가 휴전을 가로막고 있다며 비난의 목소리를 높였다. 독일 역시 휴전 가능성을 51%로 낮게 전망했다.

정작 내전 당사자들도 휴전할 뜻이 없음을 공공연히 밝히고 있다. 바샤르 알아사드 시리아 대통령은 "정부군의 최종 목표는 이슬람국가(IS)와 반군이 점령한 영토를 모두 탈환하는 것"이라며 휴전의사가 없음을 분명히 했고 반군도 BBC와의 인터뷰에서 "정부군의 공습이 멈추지 않는 이상 싸움을 그치지 않겠다"고 말했다.

시리아 내전의 키를 쥔 ISSG 국가 간에도 기타 테러조직 지정을 두고 이견이 큰 상황이다. ISSG에는 안보리 상임이사국과 터키·사우디아라비아·이란 등을 포함한 17개국과 유엔·유럽연합(EU)·아랍연맹이 참여하고 있다. ISSG 내 시리아와 러시아·이란 등은 사우디와 터키 등 수니파가 지원하는 아흐라르알샴, 제이슈알이슬람 등의 반군을 테러조직이라고 주장했지만 수니파 진영에서는 이들을 평화협상의 반정부대표단에 포함했다.

이행력 없는 휴전으로 시리아 내전은 오히려 증폭되고 있다. 러시아와 이란의 전폭적 지원에 정부군이 총공세를 가하자 사우디에 이어 터키도 IS 격퇴를 명분으로 시리아 내 지상군 파병 가능성을 언급하는 등 일촉즉발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관련기사



김현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