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국민의당 교섭단체 실패에… 날아간 국고보조금 12억

국민의당이 1차 목표점으로 삼았던 15일까지 교섭단체를 구성하는 데 실패하면서 12억여원의 국고보조금을 허공에 날리게 됐다.

국민의당은 1·4분기 국고보조금 지급일인 이날까지 총 17석의 의석 수를 확보하는 데 그쳤다. 20석이 필요한 원내교섭단체 구성에 실패한 국민의당은 경상보조금 명목으로 6억2,000만원의 지원을 받게 됐다. 교섭단체 구성에 성공했다면 18억2,000만원을 받을 수 있었다. 의원 3명이 모자라 12억원을 덜 받게 된 셈이다.

국민의당의 총선 전 목표는 여전히 교섭단체 구성이다. 이번 보조금은 대폭 줄었지만 총선 전인 다음달 28일까지 교섭단체 구성에 성공하면 72억8,000만원의 선거보조금을 받을 수 있다. 창당 후 여러모로 '실탄'이 필요한 국민의당으로서는 놓치기 힘든 액수다. 만약 지금처럼 17석을 유지한다면 보조금은 24억8,000만원으로 48억원이 줄어든다.

이 때문에 국민의당은 의원 확보가 핵심과제가 된 상황이다. 최근 창당 후 컨벤션 효과가 줄어들면서 국민의당의 인기가 낮아지자 입당 의사를 보였던 현역 의원들도 발걸음을 돌렸다. 국민의당은 더불어민주당을 탈당하고 20대 총선 불출마를 선언한 최재천 의원 영입 시도에 나서는 등 노력하고 있지만 좀처럼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보조금 같은 현실적 문제도 그렇지만 지속적인 세 확보에 실패하면서 정치적 영향력이 줄어들고 있는 것도 고민이다. 원내 3당으로서 여야 사이에서 '캐스팅보트'의 위력을 보여줘야 총선에서의 세 확보에 도움이 될 텐데 상황이 여의치 않다.

'새정치'를 표방하는 당 입장상 의석 수 확보만을 위해 아무 의원이나 끌어들이기도 어렵다. 아들 관련 '로스쿨 외압 의혹'으로 더민주를 탈당한 신기남 의원을 영입하지 않기로 정한 것이 대표적인 예다. 다만 당내에서는 신 의원의 비리 의혹에 대해 이견이 있는데다 당의 현실적 문제도 급한 만큼 받아들여야 한다는 주장도 힘을 얻고 있다.

안철수 공동대표는 14일 자신의 트위터에 "보조금 규모에 연연하지 않는다"며 개의치 않는다는 뜻을 밝혔지만 당 관계자는 서울경제신문과의 통화에서 "당내 위기감이 상당한 것은 사실"이라고 분위기를 전했다.


관련기사



진동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