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미리보는 MWC] '성능압도' 삼성·LG고가폰 2强…화웨이·소니 '중가폰 다크호스'

■ 예상 제품 경쟁구도 분석해보니

(오른쪽부터)갤럭시S7, 엣지, G5
삼성전자의 갤럭시S7(왼쪽부터), 갤럭시S7 엣지, LG전자 G5의 최근 업계 유출 사진. /사진=업계 취합


이동통신기기 업계 최대 전시회인 '모바일콩그레스월드(MWC) 2016' 개막이 닷새 앞으로 다가오면서 출품 업체들의 장외 신경전이 치열하다. 출품작들의 면면을 보면 삼성·LG전자가 고급형 스마트폰 판세를 주도하는 가운데 소니·화웨이 등이 보급형 시장에서 다크호스로 부상할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구글이 주도하는 보급형 스마트폰 사업체인 '프로젝트 아라'가 복병으로 가세할 경우 경쟁구도는 한층 복잡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16일 서울경제신문이 올해 MWC 출품 예상작들을 미리 분석해보니 이같이 '2강 2중 플러스 알파(+α)'의 경쟁구도가 예고됐다. 현재까지 드러난 공식 자료와 비공식 전언들을 종합해보면 국산 신제품인 삼성전자의 갤럭시S7 시리즈와 LG전자의 G5는 대부분의 경쟁 출품작들을 기본사양만으로도 압도하고 있다.

스페인 바로셀로나에서 행사 하루 전인 오는 21일 공개될 삼성전자의 갤럭시S7 및 갤럭시S7엣지의 백미는 카메라다. 업계 관계자는 "갤럭시 신제품의 경우 전문가용 디지털카메라(DSLR)에 버금가는 기능과 일반 카메라로는 구현하지 못할 가상현실(VR) 연계 기능이 구현될 예정"이라고 소개했다. 이에 따라 낮은 조도에서의 선명한 촬영, 근접촬영 및 줌 기능, 입체적인 촬영 기능 등이 대거 구현될 것으로 추정된다. 여기에다 동영상을 17시간 이상 계속 볼 수 있을 정도로 강력한 배터리 용량, 1m 깊이의 수중에서도 30분 이상 견딜 수 있는 방수 기능, 손가락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등으로 중무장했을 것이라는 게 갤럭시S7 제품 사양 전망이다.

같은 날 세계 무대에 데뷔하는 LG전자의 G5 역시 동급 최강의 하드웨어 사양을 구비했다는 게 이 회사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얼마 전 실물을 볼 기회가 있었는데 성능을 따라올 적수가 없겠더라"며 "플래그십(최고가 제품) 스마트폰 시장에 상당한 판도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고 말했다. 신제품의 화면 해상도는 최대 368만화소(QHD급)에 달해 경쟁 기종 중 최고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뒷면에는 듀얼 카메라가 장착돼 입체감 있는 촬영이 가능해지고 지문인식 기능 등이 기본으로 장착된다.

가성비 경쟁서 화웨이, 소니 등과 각축 예고

70만원대 미만의 중가폰 및 저가폰 시장에서는 일본·중국 업체들의 도전이 거셀 것으로 보인다. 특히 지난해 행사에서 언론과 공식 회견을 하지 않았던 소니가 올해 개막식에서 기자회견을 하겠다고 자청해 주목을 받고 있다. 예상되는 신제품으로는 'Z6' 스마트폰이 있다. 구체적인 사양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최소 4인치에서 최대 6.4인치의 화면 크기에 이르는 4~5종의 Z6 시리즈가 구상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Z6에도 압력감지식 디스플레이가 적용되고 고성능 프로세서가 적용돼 국산 고가폰에 버금가는 성능을 낼 것으로 보인다. 다만 Z6는 3~4월로 공개 시점이 미뤄질 여지는 있다.

화웨이의 신형 스마트폰 P9도 MWC에서 첫선을 보일 예정이다. 최소 5인치대에서부터 최대 6인치대의 대화면에 6GB의 초고용량 램(RAM), 듀얼 카메라 등을 갖출 수 있다는 게 업계의 전언이다. 가격은 한화 기준 50만~60만원선일 것으로 보인다. 구글이 프로젝트 아라를 통해 내놓을 모듈폰은 아직 구체적인 가격이나 사양은 전해진 게 없다. 다만 상당한 저가이고 사용자들이 기본 몸체에 여러 가지 사양의 장비를 붙였다 뗐다 할 수 있을 것으로 관측된다.

이 밖에 프랑스 알카텔, 미국 HP 등도 보급형을 들고 나올 예정이다. 중국 샤오미가 Mi5 등으로 프리미엄 시장에 진출할 것으로 보이지만 완성도가 떨어질 것이라는 게 업계의 진단이다.


관련기사



민병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