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MWC 앞둔 KT·SKT, 날카로운 5G 신경전

KT "에릭슨과 25Gbps 성공… 순수 무선환경서 이뤄낸 쾌거"

SKT "이미 시연해봐" 평가절하… "20Gbps VR 등이 상용화 근접"

KT
핀테크 동맹 넓히는 KT, 이문환 KT 기업사업부문장(오른쪽부터), 윤완수 웹케시 대표, 강대성 제노솔루션 대표가 18일 통신 인프라와 솔루션 협업을 위한 핀테크 협력 업무협약(MOU)를 체결하고 협력을 다짐하고 있다. KT는 이날 광화문 사옥에서 전자금융 솔루션 업체인 '웹케시'와 '제노솔루션'과 함께 상반기 중 CMS(기업 자금 관리 시스템) 서비스 분야 협력 모델을 적용하고 다양한 핀테크 사업 분야로 협력 범위를 넓혀 나가기로 했다. /사진제공=KT

22~25일 스페인 바르셀로나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를 앞두고 5세대(5G) 속도 경쟁이 점입가경 양상을 띠고 있다. KT가 에릭슨과 손잡고 세계에서 가장 빠른 25Gbps(1초당 25기가비트) 속도의 5G(5세대) 이동통신 기술을 구현하는 데 성공, MWC에서 시연하기로 했다. 노키아와 함께 20Gbps 전송 기술 현장 시연에 나서는 SK텔레콤과 한판 승부를 벌이게 된 것이다.

KT는 17일(현지시간) 스웨덴 에릭슨 본사에서 에릭슨과 공동으로 밀리미터 웨이브(mmWave)를 이용해 25.3Gbps의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성공했다고 18일 밝혔다. 기존 롱텀에볼루션(LTE)보다 수백 배 빠른 것은 물론 롱텀에볼루션 어드밴스드(LTE-A) 보다 80배 이상 빠르다. 밀리미터 웨이브는 넓은 대역폭을 활용해 5G 이동통신 서비스의 유력한 후보 주파수 대역이다. 이동면 KT 융합기술원장은 "실험실에서 유선 환경의 도움을 받은 다른 회사 시연 방식과 달리 순수하게 무선 환경에서 시연에 성공했다는 점이 의미 깊다"고 말했다.

하지만 SK텔레콤 측은 "지난 2일 이미 에릭슨 본사에서 똑같은 환경을 두고 25Gbps 속도 시연에 여러 번 성공했다"며 평가절하했다. 오히려 SK텔레콤이 MWC에서 20Gbps 속도로 홀로그램, 가상현실(VR) 등 첨단 기술을 구현하는 시연이 상용화에 훨씬 가까운 기술이라고 밝혔다. SK텔레콤 관계자는 "SK텔레콤이 선보이는 기술은 상용화에 근접한 기술이라고 보면 된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윤경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