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中경착륙 가능성 낮아… 美금리인상 6월로 늦출것"

'G2 리스크' 전망은



국내 경제학자들은 중국경제의 경착륙 가능성이 낮다고 봤다. 미국은 기준금리 인상을 오는 6월부터 재개할 것으로 예상했다.

서울경제신문이 한국경제학회가 주최한 공동학술대회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한 결과 중국의 경제 성장률 전망에 45.1%(23명)가 '6%대 초반'이라고 답했다. 지난해 중국 정부가 발표한 성장률은 6.9%이지만 목표치를 달성할 것으로 보는 국내 학자는 한 명도 없었다. '6% 중반'은 15.7%(8명), '5%대'는 31.4%(16명)였으며 중국 경제 경착륙의 판단 기준인 '4% 이하'로 답한 이는 7.8%(4명)이었다. 경제학자 10명 중 9명은 올해 중국 경제가 경착륙할 가능성이 낮다고 본 것이다.

다만 중국이 성장전략을 내수 주도로 바꾼 만큼 장기적으로 성장률이 계속 낮아질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김정식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는 "중국 성장전략을 수출 주도에서 내수 중심으로 바꿨는데 내수 주도로는 고성장을 할 수 없다"며 "국내에서 서비스업만으로는 성장률을 높이기가 어려운 만큼 (앞으로) 중국 성장률이 낮아질 것은 명확하다"고 말했다.

미국의 금리인상도 예상보다 늦춰질 것으로 내다봤다. 응답자의 56.9%(29명)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6월이나 돼야 금리인상을 다시 시작할 것이라고 답했다. 연내 금리동결은 33.3%(17명), 금리인하로 돌아설 것이라는 답변의 비율은 3.9%(2명)였다. 예정대로 다음달 금리를 올리는 등 올해 3~4차례 인상할 것이라고 답한 이는 5.9%(3명)이었다.


관련기사



김상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