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재테크

잘나가던 소비재펀드마저… 수익률 곤두박질

연초후 평균 수익률 -8%로 국내 주식형펀드보다 나빠

작년 상반기 10% 성과 무색

각국 소비장려 지원책 지속… 중장기적으로 관심 가질만


최근 글로벌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그동안 경기방어 역할을 해냈던 소비재 펀드들의 수익률이 고꾸라지고 있다.

19일 펀드평가사 제로인에 따르면 소비재 펀드 29개와 소비재 상장지수펀드(ETF) 3개의 연초 후 평균 수익률은 -8.14%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해외주식형 펀드의 수익률(-13.01%)보다는 양호했지만 국내주식형 펀드(-4.94%)에 비해서는 나빴다. 소비재 펀드의 수익률 하락은 최근 들어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가 더욱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준희 NH투자증권 연구원은 "한국의 1월 수출 쇼크에 이어 일본도 부진한 수출을 이어가는 등 글로벌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가 지속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에 따라 지난해 상반기 10%대 성과를 기록하며 고공행진했던 주요 소비재 펀드들의 수익률은 올 들어 -10%대로 반전했다. 특히 중국 내수경기 둔화 가능성에 아시아 소비재 펀드들의 수익률이 급속도로 악화되고 있다. 올 들어 '하이차이나인프라-컨슈머자[주식]A' 펀드는 -15.06%의 저조한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으며 '삼성차이나컨슈머1[주식]A'와 '대신아시아컨슈머[주식]A'도 각각 -14.67%, -6.96%로 부진한 상태다.

다만 소비재 펀드가 투자하는 의류·식품·생활용품 기업들은 건설·조선 등 경기에 민감한 업종과 다르게 경기 불황에도 흔들리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 투자 대안으로서의 관심을 지속할 필요가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또 경기부양을 위한 각국의 소비장려 지원책이 지속되고 있다는 점도 소비재 펀드 투자에 긍정적이다. 성태경 미래에셋자산운용 리테일마케팅부문 상무는 "고령화와 중산층 증가 등 아시아의 구조적 변화에 수혜를 받을 수 있는 소비재 투자 테마는 여전히 유효한 장기 성장 스토리"라며 "이 테마에서 수혜를 받을 수 있는 글로벌 선두기업에 투자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최근의 수익률 부진에도 '미래에셋퇴직플랜글로벌그레이트컨슈머자1(주식)종류C'에는 올 들어 78억원이 유입됐다. 미래에셋의 글로벌 그레이트 컨슈머펀드가 투자하는 기업들은 스타벅스·웰스파고·나이키·월트디즈니 등 글로벌 브랜드 파워가 있는 소비재 기업들이다. 한 운용사 펀드매니저는 "소비재와 관련된 글로벌 우량 기업들을 중심으로 구성된 펀드의 경우 꾸준히 시장에 비해 변동성이 적고 글로벌 경기가 회복세를 보이면 상당한 수익률을 기록해왔다"며 "호흡을 길게 하면서 접근해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박민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