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老정객의 마지막 탈고

이기택 전 민주당 총재 별세

6년 공들인 자서전 완성 후 떠나

4·19혁명의 주역이자 야당 정치 원로인 이기택(사진) 전 민주당 총재가 지난 20일 노환으로 세상을 떠났다. 향년 79세.

이 전 총재는 자신의 파란만장한 정치 인생을 담은 자서전을 6년 만에 완성하고 마지막 발걸음을 멈췄다.

이 전 총재의 비서실장을 지낸 박계동 전 의원은 빈소에서 기자들과 만나 "어젯밤(19일) 이 전 총재가 여의도 사무실에서 6년간 준비해온 자서전 원고의 탈고 작업을 마치고 '큰일을 마쳤네'라고 흡족하게 말했다고 들었다"고 전했다. 탈고 후 집에 돌아와 잠을 청한 이 전 총재는 이튿날 방에서 숨을 거둔 채 발견됐다. 80세에 가까운 고령이었지만 평소에는 지병 없이 건강했다고 한다.

이 전 총재는 1960년 고려대 총학생회장 당시 4·19혁명의 도화선이 된 4·18 고려대 시위를 주도했다. 이 사건으로 정치인이 된 그는 1967년 신민당 전국구 의원으로 여의도에 처음 입성했다. 이후 부산 동래구에서 세 번 연속 당선되는 등 부산을 주요 거점으로 활동하며 7선을 지냈다. 1991년에는 고(故) 김대중 전 대통령의 신민주연합당 세력과 힘을 합쳐 민주당을 창당해 공동대표를 지냈다.

이후 동교동계와의 갈등 끝에 김 전 대통령과 결별하고 통합민주당으로 분당된 뒤 신한국당과 합당하며 현 여권 세력에 편입됐다. 1998년 한나라당 총재 권한 대행을 맡는 등 여권의 중심부에 서기도 했으나 16대 총선 과정에서 이회창 당시 총재와의 갈등으로 다시 야권으로 돌아왔다. 2002년 대선에는 노무현 새천년민주당 후보를, 2007년 대선에는 이명박 한나라당 후보를 지지하는 등 여야를 넘나드는 갈지자 행보를 보이기도 했다. 이날 이 전 총재의 빈소에는 수많은 정치인과 지지자들의 조문 행렬이 이어졌다.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와 김종인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회 대표는 21일 빈소를 찾아 고인을 애도했다.

빈소는 서울성모병원에 차려졌으며 발인은 24일, 장지는 국립4·19민주묘지에 마련된다.



관련기사



진동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