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쏟아지는 황우여 경질론…장관 교체로 분위기 반전 시도

여당 내에서 ‘황우여 책임론’이 퍼지고 있다. 역사교과서 국정화에 소극적인 황우여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을 경질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국정화 사령탑을 교체해 악화된 여론을 반전시키려는 시도로 보인다.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는 27일 기자들과 만나 “(황우여 책임론이) 나올 만하다”고 밝혔다. 지난 26일 김태흠 새누리당 의원이 제기한 ‘황우여 책임론’에 힘을 실어주는 모양새다.


새누리당이 앞장 서서 황 부총리의 책임을 묻는 것은 일종의 ‘꼬리자르기’라는 분석이 나온다. 국정화와 관련한 준비부족을 이유로 황 부총리를 경질하면, 지금 제기되는 국정화의 문제점들은 홍보부족의 결과라고 주장할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반대자들에게 국정화에는 문제가 없다는 메시지를 던지는 동시에 흔들리는 지지층을 다잡을 수 있는 셈이다.

관련기사



이에 따라 ‘황우여 책임론’은 새누리당 내에서 빠르게 공감대를 얻고 있다. 새누리당 중진의원은 기자와 만나 “국정화 이슈에서 사실상 퇴로가 없는 상황”이라며 돌파구 마련의 필요성에 공감을 나타냈다. 마땅한 퇴로가 없는 이상, 국정화를 정면으로 돌파하도록 다양한 카드를 고려해야 된다는 것이다. 이어 중진의원은 “교육부가 제 역할 못 해 당이 뒤치다꺼리를 하고 있다”며 황우여 책임론에 힘을 실었다. 새누리당 초선의원 역시 “(황우여 책임론이) 꽤 퍼져 있다고 봐야 한다”며 황 부총리의 경질을 기정사실화 했다.

황우여 책임론은 당 뿐 아니라 황 부총리 본인에게도 도움이 될 전망이다. 20대 총선 출마를 노리고 있는 황 부총리에게 경질은 외려 출마로 향하는 길을 터주는 기회다. 새누리당 관계자는 “본인의 경쟁력이 뛰어난 만큼 경질이 되는 것이 본인에게도 이로운 측면이 있을 것”이라며 황우여 책임론은 당과 황 부총리 모두에게 보탬이 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전경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