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印 자동차세 인상에… 현대차 질주 제동 걸리나

소형 SUV '크레타' 인기행진 속 디젤차 세율 높아 수요위축 우려

글로벌 경쟁사 잇단 증산도 부담

150627 크레타(메인)

인도 시장에서 고속질주하고 있는 현대자동차에 비상이 걸렸다. 글로벌 자동차 제조업체들이 잇달아 현지 증산에 나서 각축전이 치열해지는 가운데 인도 정부가 승용차에 물리는 세금을 높여 성장세에 제동이 걸릴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가뜩이나 연초부터 중국 시장에서 20% 이상의 급격한 감소세로 힘겨워하는 현대차에는 엎친 데 덮친 형국이다.

13일 자동차 업계에 따르면 인도 정부는 오는 4월부터 승용차에 대해 다양한 세목을 신설해 과세하기로 했다. 100만루피(약 1,750만원) 이상 자동차에 1%의 사치세가 신설되고 차량 크기 및 유종(油種) 등에 따라 1~4%에 이르는 사회간접자본(인프라)세 등이 새롭게 부과된다.

자동차 업계는 인도 시장 수요가 위축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인도자동차공업협회(SIAM)는 예산안 발표 직후 올 2·4분기 자동차 판매 예상 증가율을 기존 12%에서 11%로 1%포인트 내렸다. 재계의 한 관계자는 "대다수 인도 진출 제조사들이 올해 판매목표를 낮출 것으로 예상된다"며 "특히 디젤차에 대한 세율이 상대적으로 더 높아 전략을 재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인도에서 마루티스즈키에 이어 시장 점유율 2위를 차지하고 있는 현대차도 타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현대차는 인도 첸나이에서 총 65만대를 생산 가능한 공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폭발적으로 커지는 내수시장에 대응하기 위해 기아차 현지공장을 설립하는 방안도 유력하게 검토하고 있다.

실제로 현대차의 2월 인도 판매량은 총 4만716대로 전년 대비 9.1% 뛰었다. 또 전략차종인 소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크레타는 지난해 6월 출시 이후 처음으로 월 판매량 8,000대를 돌파하는 등 빠르게 점유율을 높여가고 있다.

하지만 자동차세 인상 이후에는 이 같은 고속성장세가 주춤해질 가능성이 있다. 이미 일본 도요타 등 일부 업체는 2월 들어 10% 안팎의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쟁사들이 잇달아 증산에 나서는 등 공급량을 늘리는 것도 부담이다. 인도 정부는 인도에 투자하는 외국 기업에 대한 세금을 감면하는 등 다양한 투자유인 정책을 펴고 있다.

GM은 올해 탈레가온 공장의 생산량을 기존 연간 13만대에서 17만대로 늘릴 계획이다. 포드는 중형 SUV 엔데터를 현지 생산하고 폭스바겐 역시 생산능력을 2018년 20만대까지 끌어 올릴 예정이다. 이밖에 일본 이스즈와 혼다는 각각 공장 신설 및 증설 계획을 내놓았다. 이렇게 늘어난 생산물량은 일단 수출용으로 판매되지만 시장 상황에 따라 인도 내수를 직접 겨냥할 수 있다는 게 자동차 업계의 분석이다.

현대차 관계자는 "단기적으로 수요위축이 일어날 수 있지만 현재 판매하는 전략차종이 대부분 소형 모델이어서 큰 타격은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서일범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