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경기도, 승용마 보험체계 개선…말산업 발전

경기도·동부화재·농협, 승용마 보험 정상화 협약

경기도가 말산업 발전을 위해 승용마 보험체계 정상화에 나섰다.

양복완 경기도 행정2부지사는 15일 남인식 농협 중앙회 축산전략본부장, 정종표 동부화재 부사장과 함께 ‘경기도 승용마 보험 정상화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에 따라 경기도는 보험료의 50%를 지원한다. 이를 위해 약 6억4,000만원 규모의 예산을 편성했다.

농협중앙회는 도내 승마장협의체인‘경기도 말산업 발전 협의회’를 신설하고 사무국을 운영한다. 이를 통해 보험대표계약자로 역할은 물론 승마장들의 전 두수 보험가입을 적극적으로 유도하게 된다. 동부화재는 보험가입여건 개선과 함께 단체보험상품을 개발해 보험료 인하를 추진한다.


승마장들은 보험료가 인하돼 경영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됐다. 실제로 기존 보험료 대비 11% 정도 인하된 가격으로 보험에 가입할 수 있게 됐기 때문이다. 보험사측은 손해율을 줄일 수 있게 되고, 이 때문에 보험료의 추가 인하도 가능해지게 됐다. 또 전 두수 가입이 가능해짐에 따라 승마장 이용객들의 안전 확보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현재 경기 도내 승마장의 연평균 안전사고 횟수(자부담을 제외한 보험금 지급 대상 사고)는 15~20건에 달한다. 문제는 일부 승마장들이 보유승용마 전두수가 아닌 선택적으로 보험가입을 해왔다는 것이다. 가입된 말의 수보다 사고를 당해 보험금을 지급 받는 말의 수가 많아짐에 따라 보험사의 손해율이 높아졌고, 이는 승용마 보험료의 비정상적인 인상으로 이어졌다.

실제 보험료 인상 현황을 살펴보면 2011년 두당 약 40만원에서 현재는 125%정도 상승해 약 90만원에 달한다. 이 같은 보험료의 급등은 결국 승마장에 고스란히 재정적 부담으로 되돌아오게 됐고, 말 산업 활성화의 걸림돌로 작용해왔던 것이 사실이다.

경기도는 전국 승마장의 25%를 보유하고 있고, 상시 승마 인구의 50%가 거주하고 있는 지역이다. 말 사육두수는 4,300여 마리로 전국대비 17%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승마산업의 최적지로 평가받고 있다.

양복완 부지사는 “경기도는 최근 농가의 신성장 동력으로 주목 받고 있는 말산업을 지원하기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여왔다”면서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그동안의 문제점을 해결함은 물론 승마산업 활성화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의정부=윤종열기자 yjyun@sed.co.kr

장현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