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외칼럼

[Science&Market] 웨어러블 의료시장 선점 나서야

바이오정보로 진단·예방 '웰니스' 규제 장벽에 일반용 출시 주력

수집 정보 의료용으론 활용 못해 번거로워도 의료용 개발 추진을

류규하 교수


최근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정책연구원의 '65세 이상 노인진료비 지출 중장기 추계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 의료비가 오는 2060년이면 최대 337조1,000억원으로 올해 국가예산 규모에 육박할 것으로 예측됐다.

특히 지난 2014년 65세 이상 노인인구가 지출한 진료비는 19조9,000억원으로 전체 진료비의 36.3%를 차지하며 진료비 증가속도는 65세 이상 연령층이 65세 미만 연령층에 비해 약 2배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는 2000년 전체 인구에서 65세 이상 노인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7.2%에 달해 이미 고령화 사회로 진입했으며 2017년 14.0%, 2026년 20.8%, 2060년 약 40%를 차지해 초고령화사회가 될 것으로 전망됐다.

초고령화사회를 목전에 두고 국민 삶의 질 향상과 건강보험 재정보전을 위한 국가 차원의 노인건강증진 사업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고령화로 인한 의료 및 복지 부담을 감소시키기 위해 의료 패러다임이 치료에서 진단·예방·모니터링으로 전환되고 있으며 그 중심에 정보기술(IT)·헬스케어 융합제품과 서비스가 있다.

평상시 바이오 정보를 활용해 질병의 진단·예방·모니터링을 통한 건강한 삶을 지원하는 웰니스 분야와 로봇수술·영상기술 등을 포괄하는 첨단의료 분야가 이에 해당한다.

웰니스 분야는 웨어러블 기기 및 앱을 통한 서비스로 대표되는데 그동안 유력 웨어러블 기기 제조사들은 미국 식품의약국(FDA) 등 전 세계 보건당국의 규제장벽으로 의료용보다는 일반 웰니스 제품에 집중했으며 웰니스 제품으로 수집된 정보는 질병 진단 및 치료 등 의료 목적으로 활용될 수 없었다.

올 초 포브스지는 IT컨설팅 전문업체 애퀴티그룹의 설문 조사 결과 웨어러블 기기 소비자의 33∼50%가 구입 이후 6개월 안에 사용을 중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보도했다. 응답자의 24%는 웨어러블 단말기 제조업체들이 한 기기에 과도한 기능을 도입해 사용법이 너무 복잡하다고 응답했으며 웨어러블 단말기가 수집하는 생체신호 정보의 오류도 이용중지의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그동안 유력 제조사들은 자사의 웨어러블 기기가 의료기기로 분류되면 미국 FDA 등의 까다로운 허가기준을 맞춰야 했기 때문에 의료용보다는 일반소비자용 웰니스 제품 출시에 비중을 뒀다. 그러나 일반 웰니스 제품으로 승인된 기기에 수집된 데이터는 만성질환자나 의료진 입장에서 질병을 진단하거나 치료방법을 결정하는 등의 의료 목적으로 쓸 수 없는 치명적 한계를 갖고 있다는 게 업계와 의료계의 공통된 지적이다.

실제로 미국 구글은 지난해 세계지식재산권기구(WIPO)에 혈액 속 암세포를 파괴하는 의료용 웨어러블 기기를 특허 출원한 바 있으며 미국 모바일 헬스케어 전문매체 모비헬스뉴스 등 외신에 따르면 구글은 미국 FDA 승인 이후 상용화를 목적으로 심장박동 및 활력징후 측정 센서가 내장된 손목시계형 의료기기 임상시험을 추진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향후 의료 패러다임의 변화에 맞춰 바이오 정보를 활용한 질병의 진단·예방·모니터링 및 맞춤치료 시장을 선점할 필요가 있다. 웨어러블 기기나 앱을 의료기기로 승인받는 게 다소 복잡하고 번거롭더라도 제조사들은 개발단계부터 의료전문가와 병원을 적극 참여시켜 의료현장의 요구에 부합하는 웨어러블 기기가 하루빨리 활용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것이 장기적 관점에서도 제조사들에 이득을 줄 것이다.

류규하 삼성서울병원 의과학교수실 교수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