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이통 주파수 경매계획 확정… 4월 말 스타트

미래부, 내달18일까지 신청접수

통신사 망구축 의무는 소폭 완화

총 140㎒ 폭으로 역대 최대 규모인 롱텀에볼루션(LTE) 주파수 경매 계획이 최종 확정됐다. 정부는 다음달 18일까지 SK텔레콤과 KT·LG유플러스 등 이동통신 3사로부터 경매 참여 신청을 받은 뒤 같은 달 말 경매를 진행할 예정이어서 주파수 확보를 위한 이통사 간 '눈치 싸움'이 치열하게 펼쳐질 것으로 전망된다.

미래창조과학부는 18일 '2016년 이동통신용 주파수 할당 계획'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주파수가 공공자원인 만큼 이동통신 사업자가 일정 대금을 내고 정부로부터 주파수 이용 권한을 얻는 방식이어서 할당 계획이 곧 경매 계획이다.

이번에 확정된 할당 계획이 지난 4일 미래부가 발표한 초안과 달라진 점은 통신사의 망 구축 의무를 소폭 완화했다는 점이다. 경매 대상은 △700㎒(40㎒ 폭) △1.8㎓(20㎒) △2.1㎓ 20㎒) △2.6㎓(40㎒·20㎒ 두 구간) 등 총 4개 대역으로 초안은 빠른 인프라 구축을 위해 주파수 폭이 40㎒인 광대역의 경우 낙찰 뒤 4년 차까지 6만8,900개, 협대역(20㎒)은 4만2,400개 이상 기지국을 세우도록 의무화했었다. 확정안은 2.6㎓의 두 구간을 모두 한 사업자가 가져간다면 기존보다 20% 적은 숫자의 기지국만 구축해도 되도록 했다. 미래부 측은 "사업자의 중복 투자가 발생하지 않도록 예외를 뒀다"고 설명했지만 이 같은 변화가 이통사의 경매 전략에 줄 영향은 미미하다는 것이 업계의 분석이다.

이를 제외하면 최저 경매가와 경매 방식, 논란이 된 2.1㎓ 대역 경매가의 재할당 가격 연계 등 모든 항목이 초안과 같다. 대역별 최저 경매가격은 700㎒ 7,620억원, 1.8㎓ 4,513억원, 2.1㎓ 3,816억원, 2.6㎓ 두 구간은 각각 6,553억원·3,277억원으로 최저가만 다 합쳐도 2조5,779억원이다. 경매는 라운드(회)마다 참가들이 각 대역에 대해 최고가를 제출하는 동시오름으로 진행하다 50라운드까지 낙찰되지 않으면 이후 한 번에 가격을 적어낸 뒤 최고가를 가리는 밀봉입찰로 결정된다.

이에 따라 각 이통사는 자사에 유리한 경매 전략 수립에 착수했다. 확보만 하면 3사 모두 광대역 LTE 서비스가 가능해 '황금 주파수'라 불리는 2.1㎓ 대역에서 가장 치열한 접전이 벌어질 것으로 전망되며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이 지정한 글로벌 LTE 공통 대역인 1.8㎓ 대역과 2.6㎓ 대역에서도 경쟁이 치열할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조양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