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이번엔 중거리 미사일 北 동해상에 2발 발사

北 핵무기 운용능력 과시 무력시위… 김정은 지시로 시험발사 이어질 듯


북한이 동해상으로 준중거리 '노동미사일'로 추정되는 탄도미사일을 발사해 그 배경에 관심이 모이고 있다.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북한은 18일 오전5시55분께 평안남도 숙천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탄도미사일 한 발을 발사, 약 800㎞를 비행했다. 북한은 또 6시17분께 한 발을 더 쐈으나 약 17㎞ 상공에서 폭발한 것으로 보인다. 북한이 중거리 탄도미사일인 노동미사일을 발사한 것은 지난 2014년 3월26일 이후 약 2년 만이다.

노동미사일은 고폭탄과 화학탄을 장착할 수 있으며 최대사거리가 1,300㎞에 달해 대한민국 전역은 물론 일본 주요 도시까지 사정권에 들어간다.

북한의 미사일 발사는 크게 세 가지 의도를 담은 것으로 풀이된다. 첫 번째 이유는 한미 양국에 대한 무력시위. 지휘소 훈련 위주인 키리졸브 연습은 이날 종료됐으나 독수리훈련이 진행될 오는 4월 말까지 북측의 다연장로켓이나 미사일 발사 가능성도 여전히 남아 있다.

두 번째는 핵무기 운용 능력 과시로 보인다.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9일 핵탄두 경량·규격화 달성을 주장한 이래 북의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다. 15일 탄도미사일 재진입체로 추정되는 물체와 관련, 시험장면을 공개한 지 사흘 만에 핵탄두 탑재가 가능한 준중거리 미사일을 쏘았다. 이날 오전5시55분께 평남 숙천에서 발사된 1발은 북측 내륙을 가로질러 동해상으로 800여㎞까지 비행한 것으로 관측됐다. 2014년 3월 발사한 노동미사일이 650여㎞를 날아갔기 때문에 이번 노동미사일은 가장 먼 거리를 비행한 사례로 꼽힌다.

세 번째 이유는 내부 단속용. 최근 북한을 방문한 외국인들이 전하는 '평양 주민들이 국제 제재에 지친 느낌' '북중 국경의 경기마저 얼어붙었다'는 전언을 귀담아들을 필요가 있다. 주민들의 불만을 희석시키기 위해 긴장 조성과 자신감 부여에 적합한 통치수단으로 미사일을 선택했다는 것이다.

군 당국은 두 번째 사유에 무게를 두고 있다. 문상균 국방부 대변인은 "북한의 연이은 탄도미사일 발사는 최근 김정은의 지시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특히 군은 미사일 발사가 더 이어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김 제1위원장이 '빠른 시일 안에 핵탄두 폭발시험과 핵탄두 장착이 가능한 여러 종류의 탄도로켓 시험발사를 단행하라'고 지시한 이상 따를 수밖에 없는 게 북한의 정치구조이기 때문이다. 한민구 국방부 장관은 이날 오후 TV에 출연해 "북한의 도발이 이어질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권홍우기자 hongw@sed.co.kr


관련기사



안의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