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임플란트 수술 효과 수치로 입증

김백일 연세대치대 교수팀

임플란트 수술 전후 저작능력 비교 논문 발표

수 백 만원에 달하는 임플란트 수술 효과에 의문을 갖는 환자들이 많은 가운데 수술 이후 씹는 능력이 얼마나 좋아졌는지를 구체적인 수치로 제시한 연구결과가 나왔다.

김백일 연세대 치과대학 예방치과학교실 교수팀은 2012년 9월부터 2013년 6월까지 한쪽의 큰 어금니 1개 또는 2개를 상실한 환자 54명을 대상으로 임플란트 수술 전과 수술 2주 후의 저작(씹기)능력을 측정한 결과, 주관적 평가에서는 9%, 객관적 평가에서는 14.3%가 좋아졌다고 21일 밝혔다.

연구팀은 주관적 평가 방법으로 환자에게 마른오징어부터 두부에 이르기까지 단단한 정도(경도)가 다른 30가지 식품을 얼마나 씹을 수 있는지 직접 설문지에 답변하도록 했다. 그 결과 임플란트 수술 전 82.73이던 저작능력 수치가 수술 후 9%(7.43) 향상된 90.16를 기록했다.


환자들은 딱딱한 음식일수록 임플란트 수술 이후 더 잘 씹을 수 있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익히지 않은 생당근, 땅콩 같은 딱딱한 식품군을 접한 임플란트 수술 환자들은 수술 전보다 수술 후에 10.8%의 저작능력 향상을 보여 가장 큰 변화폭을 나타냈다.

관련기사



객관적 평가는 빨강과 녹색의 두 가지 색깔로 구성된 정육면체 모형을 정해진 횟수만큼 환자에게 씹게 한 후 색깔이 섞인 정도를 분석하는 방법으로 이뤄졌다. 그 결과 수술 전 54.72에 머무르던 저작능력은 수술 후 62.54로 14.3%가 좋아졌다.

김백일 교수는 “지금까지는 임플란트 수술 후 성공 여부를 객관적인 수치로 평가한 사례가 없었다”며 “이번 연구는 한쪽 큰 어금니 상실 환자를 대상으로 임플란트 수술을 시행하고 나서 2주라는 짧은 기간에 저작능력 변화를 평가하고 수치화한 최초의 논문”이라고 설명했다.

김민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