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北노동자 고용한 제3국 기업도 제재 가능성

한·미 고위급 제재협의

"대북 압박 극대화 공조"

한미 고위급 대북 제재 협의
21일 서울 종로구 외교부 청사에서 열린 한미 고위급 대북제재 협의에서 대니얼 프리드(왼쪽) 미국 국무부 제재정책조정관과 김홍균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이 악수를 하고 있다. /권욱기자

한국과 미국은 21일 '한미 고위급 제재 협의'를 열고 대북 압박을 극대화하기 위해 앞으로도 긴밀히 공조해나가기로 했다.

한미는 이날 오후 서울 세종로 외교부 청사에서 양국의 6자회담 수석대표인 김홍균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과 성 김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를 비롯해 대니얼 프리드 국무부 제재정책조정관 등이 참석한 가운데 고위급 제재 협의를 열어 이같이 결정했다.

한미는 북한이 변화할 수밖에 없는 환경을 만들어나가야 한다는 목표를 재확인하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2270호의 충실한 이행 △주요국 독자 제재 △국제사회의 압박 등 3대 축의 조치를 효과적으로 활용해 대북 압박을 강화하기로 했다.

프리드 조정관은 제재 협의 후 기자들과 만나 지난주 발동한 미국 행정명령의 북한 노동자 송출 제재 대상과 관련, "행정명령은 (북한) 노동자의 해외송출 문제를 다루기 위한 광범위한 권한을 부여했다. 특정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하면 권한이 미치는 것"이라고 말해 북한 노동자를 고용한 제3국 기업 등에 대해서도 제재 가능성이 열려 있음을 시사했다.

성 김 특별대표는 "한미는 안보리 결의를 철저히 이행할 것"이라면서 "한미 양국은 모든 국가(유엔 회원국)가 이 중요한 안보리 결의를 충실히 이행하도록 역내외 국가들과 접촉하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노희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