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재허가 심사 전전긍긍하는 T커머스업계

미래부, 22일 용인에서 사업자 비공개 청문회

10개사 공익성, 기술능력, 경영계획 등 따져

감사원 감사 여파 등으로 심사 엄격해질 전망

업계, 경영혁신 등 중소업계 지원책 마련해야

최근 급성장하는 양방향 TV홈쇼핑인 ‘T커머스’ 서비스가 정부의 수술대 위에 섰다. 미래창조과학부가 다음달 18일 기존 10개 사업자들의 사업권 만료일을 앞두면서 22일 비공개 업체 청문회를 갖고 재허가 심사결과를 조만간 내놓을 예정이기 때문이다.

미래부는 이날 경기도 용인 모처에서 심사를 위한 비공개 청문회를 열어 공익성, 재정·기술 능력, 제작·경영 계획 등을 따지기로 했다. 당국으로부터 시정명령을 받은 횟수, 시정명령 불이행 사례, 네트워크 지역지상파방송사업자와 중소지상파방송사업자에 대한 방송광고 판매 지원 이행 정도 등도 체크한다.

정부와 업계 안팎에서는 사업자 재허가 심사가 보다 엄격하게 이뤄질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미래부가 지난해 롯데홈쇼핑 재승인 심사 과정서 문제가 있었다는 지적을 최근 감사원으로부터 당한 상태이기 때문이다. 롯데홈쇼핑이 지난해 심사 당시 납품비리 임직원 명단 일부를 누락한 것이 화근이 된 것이다. 미래부의 한 관계자는 “기존과 동일한 평가 항목을 적용하는 등 달라지는 것은 없다”며 신중론을 폈으나 업계 일부에서는 전전긍긍하는 기류가 흘러 나오고 있다.


한 T커머스업체 임원은 “사업성을 자신하지 못해 망설이다가 경쟁사들이 진출하니까 무작정 시장에 뛰어든 경우도 적지 않다”며 “정작 비전을 갖고 진지하게 투자를 하는 업체들까지 피해를 볼 수 있다”고 지적했다. 반면 또 다른 업체 관계자는 “기존의 일반 TV홈쇼핑은 7개사가 사실상 과점형태라 수수료가 비싸 중소상공인들은 이용하기가 쉽지 않다”며 “TV홈쇼핑 보완재인 T커머스 시장을 키워 중소업체 판로를 넓혀줘야 한다”고 반박했다.

관련기사



업계의 혁신을 주문하는 목소리도 제기된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T커머스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T커머스 회사들의 서비스 혁신을 통한 비용절감으로 중소기업들에게 혜택을 줘야 한다”며 “리모콘 주문 프로세스의 혁신이나 핀테크 결제 도입이 그 예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실제 더블유쇼핑(W쇼핑)의 경우 지난해 도입한 간편결제 시스템을 개선하기 위해 리모콘 주문 프로세스를 혁신한 ‘간편주문’ 서비스를 4월 중 도입하기로 했다. 미래부도 지난해 7월 공영홈쇼핑을 승인하며 선도적 시장 창출 노력, 주문·결제·배송 등 서비스 혁신, 창조경제 지원 종합유통망 구축 등을 주문했었다.

T커머스시장은 매출기준으로 지난 2013년 230억원에 불과했으나 2014년 790억원, 2015년 2,500억원, 올해 7,000억원으로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2005년 T커머스사업자 탄생 당시만 해도 쌍방향 홈쇼핑을 원활히 서비스할 수 있는 기술이 미흡하고 사업성도 불투명했으나 2012년 KTH가 최초로 실시간 서비스 채널을 열면서 본격적으로 시장이 커졌다. 앞서 2009년 7조원선이던 일반 TV홈쇼핑 시장규모(취급고 기준)는 2014년 15조원에 근접했으나 지난해 11조8,000억원으로 급감했다. /민병권·조양준기자 newsroom@sed.co.kr

◇T커머스 시장 매출 추이(단위: 억 원)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30 790 2,500 7,000
*자료: 한국T커머스협회(올해는 전망치)

민병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