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기업여신 떠맡다가… 국책銀 건전성 '골병'

현대상선 등 구조조정 지연에

충당금 적립률 70%대로 급락

전체 은행도 93%… 5년래 최악

증자통한 자본확충 등 대책 시급


현대상선·대우조선해양 등 부실 대기업이 속출하면서 은행 건전성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5년 만에 최악의 수준으로 추락했다. 특히 시중은행이 손쉬운 가계대출에만 치중한 사이 기업여신을 떠안은 국책은행들의 건전성이 심각하게 훼손돼 증자를 통한 자본확충 등 대책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말 국내 은행의 기업여신 대손충당금 적립률은 전년 대비 11.8%포인트 급락한 93.4%를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의 여파로 한계기업이 대거 늘어났던 지난 2010년(93.1%)에 근접한 수준이다. 기업 부문 여신의 대손충당금 적립률이 100% 아래로 떨어졌다는 것은 은행이 보유한 부실기업의 여신이 모두 부도날 경우 은행들이 현재까지 쌓아놓은 대손충당금으로 감당할 수 없다는 의미다. 기업여신은 가계나 신용카드 부문 등 다른 여신에 비해 규모가 훨씬 크고 구조조정이 진행 중인 상황에서 당장 매각하거나 상각 처리하기도 어려워 부담이 더 많다.

특히 KDB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 등 국책은행의 충당금 적립률은 심각한 수준이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산은의 기업 부문 충당금 적립률은 78.6%, 수은은 79.9%에 불과하다. NH농협은행은 58%밖에 되지 않아 현재 보유한 부실여신 중 절반만 회수하지 못해도 건전성에 심각한 타격을 받을 것으로 우려된다. 이들 국책은행은 현대상선과 대우조선해양·STX 등 부실기업들의 여신을 시중은행들을 대신해 대거 떠안은 상태다.

실제 2014년 2.49%를 기록했던 산은의 부실(고정이하)채권 비율은 지난해 말 현대상선에 대한 여신이 부실로 분류됨에 따라 5.68%로 급등했다. 1년 만에 늘어난 부실여신 규모는 4조2,000억원에 달한다. 수출입은행의 부실채권 비율 역시 같은 기간 2.02%에서 3.24%로 뛰었고 농협도 1.62%에서 2.27%로 증가했다. 국책은행들의 부실채권이 대거 늘어나면서 지난해 말 기준 전체 은행권의 부실채권 비율은 1.80%로 집계돼 2010년(1.90%) 이후 5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금융당국의 한 고위관계자는 "기업 구조조정의 여파로 국책은행을 중심으로 은행의 건전성이 크게 악화됐다"며 "상반기 대기업 신용위험평가가 진행되면 부실기업이 더 늘어날 수 있는 만큼 배당을 유보하고 증자를 통해 자본을 확충하는 등 충당금을 추가 적립하는 방안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고 전했다. /임세원·조민규기자 why@sed.co.kr


관련기사



조민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