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총선 첫 사전투표… 여야 유불리는?

내달 8∼9일 전국 3,511곳 사전투표소 운영…총선 첫 도입

야당 반드시 유리하다고 볼 수 없어

4·13총선 사전투표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전국 단위 국회의원 선거에선 처음 적용되는 사전투표가 총선 판도를 바꿀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어서다.

사전투표는 선거일에 투표하기 어려운 유권자들이 별도의 신고없이 선거일 직전 금·토요일에 전국의 사전투표소에서 투표할 수 있는 제도다. 이번 총선에서 사전투표는 다음 달 8~9일 이틀간, 오전 6시부터 오후 6시까지 전국 3,511곳의 사전투표소에서 실시된다.


사전투표제는 전체 투표율의 상승을 견인하며 정치권의 관심사로 떠올랐다. 2013년 4·24재보궐선거와 같은 해 10·30재보궐선거에서 사전투표율은 각각 4.9%, 5.5% 수준에 그쳤으나 2014년 6·4지방선거에서는 11.5%로 뛰어올랐다. 당시 지방선거 투표율은 16년 만에 최고치인 56.8%를 기록했다. 2014년 지방선거 당시 박영선 의원을 비롯한 야당 지도부는 공개적으로 사전투표에 참여하며 사전투표를 독려하기도 했다. 사전투표로 전체 투표율이 높아지면 야당에 유리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관련기사



다만 사전투표 참여율 증가가 반드시 야권에 유리한 것은 아니다. 야권 지지 성향이 강한 20~30대 사전투표 참여율이 생각만큼 높지 않기 때문이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2014년 지방선거에서 20~30대 사전투표 참여율은 12.3%를 기록했다. 이는 60대 이상이 11.1% 사전투표에 참여한 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 한 20대 유권자는 “사전투표를 하려는 친구를 본 적이 없다”며 “대부분 투표 당일 기분에 따라 참여하지, 굳이 사전투표까지 하려고 하지는 않는 것 같다”고 말했다.

박효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