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부산에 LNG 선박 기자재 지원센터 짓는다

국비 등 231억 투입 2020년까지

국산화로 조선산업 돌파구 기대

LNG 기자재 시험인증센터 시스템 배치 조감도. /사진제공=부산시LNG 기자재 시험인증센터 시스템 배치 조감도. /사진제공=부산시


조선업계의 새로운 먹거리로 떠오르고 있는 액화천연가스(LNG) 연료 선박의 LNG 연료탱크, 펌프, 밸브 등 관련 기자재 연구를 지원하는 센터가 부산에 들어선다.

해외 의존도가 높은 LNG 연료 선박 기자재의 국산화율을 높여 침체한 조선산업의 새로운 돌파구를 찾는다는 게 부산시의 구상이다.


최근 해양환경 보호에 대한 인식이 높아진데다 LNG 가격이 떨어지면서 LNG를 연료로 사용하는 선박 수요가 늘어나 관련 기자재 시장의 규모가 연간 71조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부산시는 최근 산업통상자원부 공모사업인 ‘LNG 연료 선박 조선 기자재 지원센터’를 부산에 유치했다고 4일 밝혔다.

이에 따라 부산시는 오는 2020년 말까지 국비 100억원·시비 116억원·민자 15억원 등 총사업비 231억원을 투입해 강서구 미음 연구개발(R&D) 허브단지 내 1만275㎡ 부지에 ‘LNG 기자재 시험인증 센터’를 건립할 계획이다.

이번 사업은 LNG를 추진연료로 사용하는 선박의 연료공급 시스템에 장착되는 각종 기자재의 성능평가 및 시험인증 지원과 설계 엔지니어링 기술지원을 위한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이다.

국내 고압가스안전관리법에 적합하고 고압(300bar 이상)·극저온(-196℃) 시험이 가능한 장비를 구축해 관련 기자재 기업이 공동 활용할 수 있는 시험인증지원 통합체계 구축을 목표로 한다.


부산시는 LNG 조선 기자재 기술의 국산화로 수출 경쟁력이 향상되면 현재 20%(15조원) 가량인 국내 기자재 점유율이 2025년 30%대로 증가하고 국내 LNG 추진선박 건조 비중도 전 세계의 25% 정도로 높아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또 연간 18조원의 직접 효과와 2만5,800여명의 고급인력 고용 효과도 예상된다는 게 부산시의 설명이다.

관련기사



부산시 관계자는 “선박의 주 연료인 디젤유에 대한 국제해사기구(IMO)의 규제가 강화되면서 2025년까지 전 세계에서 1,000여척의 LNG 연료추진 선박이 인도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LNG 미니클러스터, 관용선 LNG 전환사업, LNG 화물창(KC-1) 합작법인 유치 등과 연계해 부산이 LNG 추진선박 산업생태계의 중심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LNG 연료추진 선박이 조선업계의 블루오션으로 떠오르고 있는 것은 IMO가 올해부터 선박 배출가스 규제지역 내 질산화물 규제를 적용할 방침인데다 2020년부터 항해 중인 모든 선박에 황산화물 규제를 적용할 예정이기 때문이다. /부산=조원진기자 bscity@sedaily.com

◇LNG 연료추진 조선기자재 지원사업 개요

위치: 부산 강서구 미음R&D 허브단지(1만275㎡)

사업기간: 2016년 4월~2020년 12월

사업내용: 가스연료추진 조선기자재 성능평가·시험인증 기반 구축

총사업비: 231억원

<자료=부산시>

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