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표준과학원 '뇌자도 측정장치' 실리콘밸리에 기술이전

간질·치매 등 정확히 진단

20년간 300억 수입 예상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생체신호센터 이용호 박사팀이 뇌기능 연구 및 뇌질환 진단에 사용되는 뇌자도 측정장치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제공=표준연한국표준과학연구원 생체신호센터 이용호 박사팀이 뇌기능 연구 및 뇌질환 진단에 사용되는 뇌자도 측정장치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제공=표준연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이 고부가가치 뇌자도 측정장치를 개발해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활동하는 호주의 바이오소프웨어 회사인 컴퓨메딕스(Compumedics)에 기술이전하기로 했다. 기본기술료 12억원, 기술 실시기간(2016∼2036)에 3.5%의 경상기술료를 받는 조건으로, 표준연은 뇌자도 진단장치 시장이 활성화되면 기술 실시기간 총 기술료 수입이 3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관련기사



표준연 생체신호센터 이용호 박사팀이 개발한 이 기술을 활용하면 그동안 정확한 진단이 어려웠던 뇌전증(간질), 파킨슨병, 자폐증, 치매 등 신경계질환을 진단할 수 있게 된다고 표준연은 설명했다. 두뇌에 흐르는 자기장 신호를 감지해 일종의 두뇌 자기장 지도를 그릴 수 있기 때문이다. 인체에도 전혀 해가 없다. 뇌 전기활동을 초당 1,000 장까지 영상화할 수 있어 순간적인 신경전류 변화를 알 수 있고 뇌 활동부위에 대한 3차원 정보도 얻을 수도 있다. 스퀴드(SQUID)라는 정밀자기측정소자를 활용해 단 1회 측정만으로도 두뇌 전반의 복잡한 전기활동정보를 파악할 수 있고, 외부의 자기장 잡음을 제거해 신호품질을 향상시켰다. 센서장치, 회로장치, 냉각장치, 자기차폐장치 등을 단순화해 제품생산시 경제성도 높였다.

박현민(앞줄 오른쪽에서 세번째)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원장 직무대행이 4일 대전 표준연에서 컴퓨터메딕스와 기술이전 계약을 맺고 데이비드 부턴 대표(앞줄 왼쪽에서 세번째)와 포즈를 취하고 있다. /사진제공=표준연박현민(앞줄 오른쪽에서 세번째)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원장 직무대행이 4일 대전 표준연에서 컴퓨터메딕스와 기술이전 계약을 맺고 데이비드 부턴 대표(앞줄 왼쪽에서 세번째)와 포즈를 취하고 있다. /사진제공=표준연


뇌기능 분석 소프트웨어 등을 개발하는 컴퓨메딕스사는 앞으로 스퀴드 센서, 자기차폐실 등을 한국에서 제조하기로 했다. 표준연 측은 당초 국내기업에 기술이전을 하려 했으나 마땅한 곳을 찾지 못했다. 이 박사는 “1994년부터 꾸준한 연구를 통해 만들어낸 결과물”이라며 “장기적으로 투자하면 고부가가치 원천기술을 확보할 수 있다”고 밝혔다. 데이비드 부턴 컴퓨메딕스 대표는 “뇌자도 장비의 의료기기 승인과 글로벌 사업화에 주력하겠다”며 “양측이 힘을 합쳐 뇌기능진단 시장을 크게 키울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민병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