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레이저 이용 산소-18 농축수 생산 돌입

질병진단용 방사성의약품의 필수원료로 전량 수입되는 산소-18 농축수 생산 시설이 대전에 준공됐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은 3호 연구소기업인 (주)듀켐바이오연구소를 통해 레이저 동위원소 생산기술을 이용해 농도 98% 이상의 산소-18 농축수를 연간 100kg 생산할 수 있는 설비를 준공·가동했다고 5일 밝혔다.

산소-18은 보통 산소와 원자량만 다른 동위원소로 일반적인 물에 0.2% 가량 들어 있다. 98% 이상 농축된 것이 암이나 파킨슨병 등을 진단하는데 필요한 방사성의약품을 제조하는 데 사용된다. 최근 수요가 증가하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었다.


원자력연과 연구소가 이번에 개발한 공정은 광섬유 레이저를 물에 쏴 산소-18 농축수를 생산하는 것으로 해당 공정은 세계 처음 상용화된 기술이다.

관련기사



앞서 미국, 일본, 이스라엘 등에서는 증류법을 이용해 생산하고 있는 데 이는 24시간 가동해야 해 설비 구축·유지비용이 많이 든다. 연구소는 국내 신공정으로 생산 단가를 반 이하로 낮출 수 있어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김종우 듀켐바이오연구소 대표는 “국가 연구소의 원자력 기술과 바이오 의료기술이 접목된 융합기술의 사업화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우리 토종 과학기술을 활용해 세계 시장 첫 상용화에 도전하며 오는 2020년까지 연간 500억원 규모의 매출을 목표로 국내외 시장에 도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의 3호 연구소기업인 ㈜듀켐바이오연구소가 상용화 설비를 갖추고 산소-18 농축수 국내 최초 생산을 시작한다./사진제공=한국원자력연구원한국원자력연구원의 3호 연구소기업인 ㈜듀켐바이오연구소가 상용화 설비를 갖추고 산소-18 농축수 국내 최초 생산을 시작한다./사진제공=한국원자력연구원




김지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