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삼성전자, 국제디자인 특허출원 1위

한국, 국가별 순위 4위 올라

'헤이그 시스템' 가입 효과

특허청 "中企 활용도 넓힐 것"

지난해 국제디자인 출원분야에서 삼성전자가 1,132건을 출원해 1위에 올랐다.

특허청은 10일 세계지식재산권기구(WIPO)가 발표한 ‘2015년 헤이그 시스템을 통한 국제디자인 출원분야’에서 삼성전자가 1위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스와치는 511건을 출원해 2위를 차지했고 폰 캘(438건), 폴크스바겐(418건) 등이 뒤를 이었다.


국가별 순위에서는 우리나라가 1,282건을 기록해 독일(3,453건), 스위스(3,316건), 프랑스(1,317건)에 이어 4위를 차지했다. 우리나라가 짧은 기간 내에 국제디자인 출원 세계 4위에 오른 것은 헤이그 시스템의 장점이 널리 인식되면서 국내 대기업을 중심으로 제도 활용이 크게 늘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관련기사



헤이그 시스템은 한 번 디자인을 출원하면 미국과 일본, 유럽 등 여러 국가에 해당 디자인 권리를 인정받을 수 있는 제도로 우리나라는 지난 2014년에 가입했다. 이 시스템은 국가별로 디자인 출원 대리인을 지정할 필요가 없고 하나의 언어로 절차를 진행할 수 있어 간편하면서도 비용이 저렴한 것이 특징이다. 또 등록된 디자인 권리 소유의 관계 변동을 일괄적으로 처리할 수 있어 관리하기에도 편리하다. 그동안은 주로 유럽국가 위주로 운영됐지만 우리나라를 포함해 미국, 일본 등 주요 국가들이 잇따라 가입하면서 지난해 총 출원 건수는 1만6,435건을 기록했다. 현재 헤이그 시스템을 통해 디자인 국제 특허를 출원할 수 있는 국가는 83개국이다.

최규완 특허청 상표디자인 심사국장은 “협정에 가입한 지 얼마 되지 않아 아직 중소기업에서는 제도 활용이 저조한 편”이라며 “앞으로 중소기업도 헤이그시스템을 활용하도록 수출 위주의 중견기업을 직접 찾아가는 등 맞춤형 홍보에 주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백주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