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집단탈북 직접원인은 대북제재…비슷한 사례 추가발생 가능성도"

통일부 당국자 언론 브리핑 "해외식당 절반이 상납금 못내"

8일 오후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통일부 정준희 대변인이 북한 집단 탈북 이슈와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8일 오후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통일부 정준희 대변인이 북한 집단 탈북 이슈와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북한 해외식당에서 근무하는 종업원 13명이 집단 탈출해 7일 국내에 입국했다고 통일부가 8일 밝혔다.     정준희 통일부 대변인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게 열린 기자회견에서 “북한 해외식당에서 근무 중이던 지배인과 종업원 등 13명이 집단 귀순했다”며 “이들은 남자 지배인 1명과 여자 종업원 12명으로, 4월 7일 서울에 도착했다”고 말했다. /사진제공=통일부북한 해외식당에서 근무하는 종업원 13명이 집단 탈출해 7일 국내에 입국했다고 통일부가 8일 밝혔다. 정준희 통일부 대변인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게 열린 기자회견에서 “북한 해외식당에서 근무 중이던 지배인과 종업원 등 13명이 집단 귀순했다”며 “이들은 남자 지배인 1명과 여자 종업원 12명으로, 4월 7일 서울에 도착했다”고 말했다. /사진제공=통일부


정부는 지난 7일 이뤄진 북한 해외식당 종업원 13명의 집단탈북의 원인에 대해 “가장 직접적인 것은 대북제재”라면서 “이런 사례가 추가적으로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다.

통일부 당국자는 10일 언론 브리핑을 통해 “대북제재가 본격화하는 상황에서 외화 상납에 대한 강한 압박과 함께 비교적 자유롭게 외부 소식, 특히 한국 방송과 인터넷 등을 자유롭게 접하면서 한국 사회 모습을 동경하게 된 것이 이번 탈북 결정의 배경이 됐다”며 이같이 말했다. 탈북 여종업원 중 한 명은 “최근 대북제재가 심화되면서 북한 체제에 더 이상 희망이 없다고 보고 희망이 있는 서울로 탈출하게 됐다”고 말했다고 이 당국자는 전했다.


이 당국자는 “이번 탈북은 북한에서도 소위 출신 성분도 좋고, 중산층 정도의 생활을 하는 사람들이 집단탈북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작지 않다”며 “북한 내부에 미치는 영향도 상당한 정도일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이번에 탈북한 남자 지배인은 30대이며 여자 종업원들은 30대 한 명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모두 20대 초중반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이 탈북을 결심한 가장 직접적인 원인으로 대북제재를 꼽을 만큼 제재로 인해 북한의 해외식당의 경영이 악화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통일부 당국자는 “북한의 해외식당은 130여개 정도 되는데 최근 핵실험과 미사일 도발 등으로 국제사회의 여론이 악화되고 대북제재로 인해 매출이 하락하고 있다”면서 “식당 절반이 상납금 조달이 어려운 상황으로 파악된다”고 밝혔다. 일부 국가에서는 북한 근로자들의 비자 발급을 제한하고 있으며 일부 해외 북한식당은 폐업한 사례도 있다고 이 당국자는 전했다.

이 당국자는 “북한 해외식당들은 투자를 유치하고 수익성을 높이기 위해 무허가 건강식품을 판매하거나 퇴폐영업을 하는 등 불법행위를 포함한 여러 가지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북한 해외식당이 상납한 금액은 총 1,000만달러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북한 접경지역 중심으로 쌀 등 생필품 가격이 오르는 등 대북제재 효과가 일부 나타나고 있다고 통일부는 밝혔다. 또 북한이 5월 초로 알려진 제7차 당대회 준비를 위해 ‘70일 전투’에 나서며 무리하게 각종 상납금을 요구하면서 주민들의 불만이 증폭하고 있다고 전했다. 북한 주민들은 “핵실험에 쓸 돈으로 쌀 한 자루씩 공급해주면 절을 하겠다, 배급도 안 주면서 위성은 무슨 위성이냐”며 불만을 쏟아내고 있다고 이 당국자는 소개했다.

노희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