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오늘부터 전기차 충전 유료화…車업계 반발

때 이른 유료화에 시장성장 저해

국내 자동차 업체들이 11일부터 시행되는 전기차 충전요금 유료화에 반발하고 있다. 아직 국내는 전기차 시장이 무르익지 않았는데 때 이른 유료화가 시장 성장을 막는다는 것이다.

10일 재계에 따르면 11일 오전9시부터 전국에 설치된 공공급속충전시설 충전요금이 유료로 바뀐다. 충전요금은 킬로와트시(kWh)당 313.1원이다.


환경부의 관계자는 “이용자 부담 원칙을 적용해 국가재정 부담을 줄이고 민간충전사업자를 육성하기 위한 방안”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하지만 업계에서는 볼멘소리가 나온다. 전기차 육성을 외치는 정부 정책과 맞지 않고 ‘테슬라 열풍’으로 높아진 전기차에 대한 관심도 꺼뜨릴 수 있다는 얘기다. 업계 관계자는 “전기차 보급이 본격화되기 전 충전요금을 유로 전환한 것은 시장 성장을 발목 잡는 것”이라며 “아직 국내 시장에서 전기차 관련 산업을 키우려면 소비자들을 끌어들이기 위한 유인책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충전요금이 유료로 바뀌면서 현대차 ‘아이오닉 일렉트릭’의 경우 완전 충전하는 데 8,000원가량이 든다. 르노삼성 ‘Z.E.’도 완충하는데 약 7,000원을 내야 한다. 아직 1회 충전으로 달릴 수 있는 거리가 150㎞에 불과해 자주 충전해야 하고 충전시간도 30분 이상 걸린다. 여기에 유료화까지 되면서 전기차에 대한 매력이 크게 낮아지는 셈이다.

실제 유료화에 앞서 제주에서 시행된 전기차 민간 공모에서는 신청인 수가 당초 보급계획에 크게 못 미쳤다. 두 차례 공모에서 예상치의 3분의1 수준인 1,527대밖에 이뤄지지 않은 것이다. 제주뿐만 아니라 전기차 공모를 진행한 다른 지자체도 상황은 비슷하다. 업계 관계자는 “충전요금 유료화 시기를 늦추거나 공공기관 업무용차, 택시 등은 유료화에서 제외하는 방안이 검토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박재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