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몸에 삽입하는 나노 센서 국내 개발 박차

나노기술 종합발전계획 확정

전기차 배터리·전자소자 등

2025년 1,000개 기업 육성

앞으로 9년내에 첨단의 나노기술을 이용해 사람의 몸에 부착하거나 삽입할 정도로 유연한 센서나 통신소자가 국내에서 개발돼 의료서비스 등에 사용된다. 한 번만 충전해도 서울에서 구미까지 왕복(약 500㎞)할 수 있는 전기차용 배터리, 현재보다 정보처리 속도는 100배 빠르면서도 전력소비는 1,000분이 1로 줄인 전자소자도 같은 기간 나노기술을 통해 탄생할 예정이다.

미래창조과학부 등 10개 부처는 11일 이 같은 목표를 담은 장기계획인 제 4기 나노기술종합발전계획(2016~2015)을 국가과학기술심의회에서 확정했다.


이번 계획은 2025년까지 우리나라의 나노과학기술을 미국 대비 92% 수준(현재는 약 81%)까지 끌어올리고 핵심연구인력 1만2,000명을 양성해 제조업의혁신을 이끌 선도기술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해당 방안이 실현되면 1,000개의 나노융합기업이 육성될 것으로 미래부는 내다봤다. 또한 국내 전체산업계의 매출중 나노기술을 융합한 제품매출 비중이 12%에 달하며 총 25만명의 고용효과가 날 것으로 기대했다.

관련기사



정부는 이를 위해 2014년 정부 연구개발투자 총액의 3%(5,313억원)이던 나노기술분야 투자액을 4%(8,800억원)으로 늘릴 예정이다. 또한 7대 전략분야를 선정해 관련 핵심기술 확보에 집중투자하기로 했다. 해당 분야는 3차원 나노전자소자, 사물인터넷적용 환경 나노센서, 식품안전 나노센서, 기능성 나노섬유, 탈귀금속 촉매용 나노소재, 탈희유원소 산업용 나노소재, 저에너지 수처리 시스템 등이다.

정부는 또 특구별 연구개발 역량과 자원, 보유기술이 중첩되지 않도록 조정해 집중 지원키로 했다. 예를 들어 대덕 지역은 정보통신기술(ICT) 융복합, 광주 지역은 친환경 자동차부품, 대구 지역은 스마트 지식서비스, 부산 지역은 조선해양플랜트 등으로 특화된 산업단지로 육성된다. 지방자치단체의 각종 특구지정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규제완화도 병행된다. 이에 따라 특구 총 지정 면적의 5% 이내 또는 5㎢ 규모 이내에서 특구를 확대할 수 있게 된다. 특구로 지정됐지만 장기간 방치된 구역은 지정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길도 터주기로 했다. /민병권기자 newsroom@sedail.com

민병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