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기업 연계형 대학' 키워 일자리 5만개 만든다

교육부 산학협력 5개년 계획 확정

2020년까지 1조2,000억 투입

대학지주회사·자회사 설립 확대





정부가 ‘기업 연계형 대학’ 육성을 통해 오는 2020년까지 5만개 이상의 일자리를 새로 만든다.

정부는 이를 위해 5년간 1조2,000억원 이상의 예산을 투입하기로 했다.


교육부는 12일 이런 내용의 ‘산학협력 5개년(2016~2020) 기본계획’을 확정·발표했다. 기본계획에 따르면 대학지주회사와 자회사 확대 설립을 통해 5년간 약 3,700여개의 일자리가 추가로 생긴다. 대학지주회사는 대학이 보유한 특허 등을 사업화하는 전문조직이다. 기존에는 기술이전촉진법상의 기술을 출자하는 형태의 지주회사만 설립 가능했지만 앞으로는 산학협력촉진법 개정을 통해 문화·예술·콘텐츠 및 서비스 분야의 대학지주회사 설립이 허용된다. 이를 통해 현재 36개 지주회사와 230개 자회사에서 1,240여명을 고용하던 것에서 2020년에는 60개 지주회사와 440개 자회사에서 5,000여명으로 고용 규모가 확대된다.

관련기사



창업문화 확산을 위해 ‘대학창업펀드’를 조성하고 대학원생 창업을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방안도 제시했다. 대학창업펀드를 신설해 우수 사업 아이템과 기술을 가진 대학(원)생이 실제 창업에 나설 수 있도록 지원해 약 1만6,300여개의 고용을 창출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창업 성공 가능성과 창업기업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 우수한 기술을 보유한 석·박사급 기술창업지원에도 나선다. 또 교수의 지도를 통해 석·박사 연구원의 아이디어가 사업화되는 실험실(Lab) 창업을 유도하고 학부생 창업교육과는 차별화된 대학원생 창업교육 프로그램도 개발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연간 학생 창업기업 수를 현재 247개에서 2020년까지 1,800개로 늘릴 예정이다.

교육부는 대학과 기업이 교육과정을 공동운영하고 졸업생 채용 시 우대하는 ‘사회맞춤형 학과’ 학생 수를 현재 4,927명에서 2020년까지 현재의 5배 수준인 2만5,000명으로 확대해 청년취업난을 해소한다는 계획도 세웠다.

배성근 교육부 대학정책실장은 “가장 큰 관심사인 일자리 문제를 해결하고 우리 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교육부도 대학과 협력해 가능한 모든 자원을 지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노현섭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