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친박 성지' 무너뜨린 무소속 바람

새누리 '대구 사수' 실패

유승민·주호영 당선

12석 중 8석 확보 그쳐

새누리당이 4·13 총선에서 충격적인 패배를 당한 가운데 전통적인 텃밭인 대구에서도 실망스러운 성적표를 받아들었다. ‘보복공천’에 따른 무소속 바람에 야권 후보의 약진까지 더해지면서 새누리당은 대구 12석 가운데 8석을 얻는 데 그쳤다. 대구 민심이 민생은 뒷전에 둔 채 계파 간 밥그릇 다툼에만 골몰한 여당에 확실한 경고음을 울리면서 현 정부는 여소야대(與小野大) 정국과 맞물려 조기 레임덕에 빠질 가능성도 높아졌다.

새누리당은 13일 치러진 4·13 총선을 통해 대구에서 진박(眞朴) 신인인 정종섭(동갑)·추경호(달성)·곽상도(중·남) 후보와 함께 조원진(달서병)·윤재옥(달서을)·곽대훈(달서갑)·김상훈(서구)·정태옥(북갑) 후보 등 총 8명의 당선자만 배출했다. 동을(유승민)·수성갑(김부겸)·수성을(주호영)·북을(홍의락) 등 나머지 4개 지역구에서는 무소속 또는 야권 후보가 새누리당의 텃밭에 깃발을 꽂았다.


지난 18대 총선 당시에도 친박연대와 친여 성향의 무소속이 4석을 가져갔지만 이번처럼 야권 후보에게 대구를 내준 것은 31년 만에 처음 있는 일이다. 새누리당의 이 같은 성적은 어느 정도 예견된 결과라는 분석이다.

우선 당의 방침에 반기를 들고 탈당한 유승민·주호영 의원의 ‘동반 당선’은 대구 민심이 사실상 박근혜 대통령의 의중이 담긴 공천에 대해 분명한 거부 의사를 표출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날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지역별 투표율 집계에서 대구가 54.8%로 최하위를 기록한 것 역시 이 같은 민심의 우회적인 표출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이와 함께 김부겸·홍의락 등 야권 후보의 약진은 그동안 한국 정치를 지배해왔던 지역주의에 균열을 내는 신호탄으로 받아들여진다.

관련기사



이로써 정치적 고향인 대구에 ‘친박 벨트’를 구축해 안정적인 국정 운영 동력을 유지하면서 퇴임 이후에도 영향력을 행사하려는 박근혜 대통령의 구상은 무위에 그치게 됐다.

특히 새누리당의 ‘대구 사수’ 실패는 여소야대를 이끈 전체 과반 미달과 맞물리면서 현 정부의 레임덕 돌입 시점도 그만큼 앞당겨질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윤태곤 더모아 정치분석실장은 서울경제신문과의 통화에서 “유권자의 눈살을 찌푸리게 하는 보복공천이 이어지면서 새누리당은 야권 분열의 수혜를 입지 못했다”며 “수도권에서의 패배 역시 대구발(發) 무소속 돌풍이 북상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나윤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