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방송·연예

저작권 침해 사이트 광고 막는다

정부, 광고주 등에 불법행위 5곳 게재 중단 요청

저작권 침해 불법사이트를 막기 위해 정부가 해당 사이트의 광고 수익 차단에 나섰다. 돈줄을 끊어야 불법을 원천 봉쇄할 수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지난 1∼3월 불법 스트리밍 등 저작권 침해 행위를 일삼는 T, W 등 5개 온라인 사이트에 실린 219개 광고의 광고주 또는 광고대행사에 3차례에 걸쳐 광고 게재 중단을 요청했다고 17일 밝혔다. 지난달 말 현재 전체의 85.4%인 187개 광고가 해당 사이트에서 사라졌고, 사이트 운영자들은 매출의 70∼80%가 감소하는 손실을 본 것으로 추정됐다. 특히 경영난에 처한 한 사이트는 지난달 스스로 폐쇄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문체부는 설명했다.


나머지 32개(14.6%)의 광고는 광고주의 협조가 어려운 도박·음란 등 불법 온라인 광고로, 경찰청·사행산업통합감독위원회·방송통신심의위원회 등에 광고 삭제를 위한 조치를 요청했다고 문체부는 밝혔다.

관련기사



문체부 조사 결과 미국 등 해외에 서버를 둔 이들 사이트는 접속자들끼리 온라인으로 서로 연결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이용해 방송·영화 등 콘텐츠를 불법으로 제공하는 저작권 침해 행위를 저지른 것으로 드러났다. 이를 통해 한 사이트는 2년여 동안 약 4억3,000만원의 광고수익을 올린 사례도 있었다.

문체부는 “해외 서버에 기반을 둔 저작권 침해 사이트를 집중적으로 단속해 광고 차단 등을 통해 폐쇄토록 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최수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