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창조경제 입은 전통시장 '1913 송정역 시장' 개장

광주시·현대차그룹 맞손

문화·디자인·ICT 혁신적 접목

청년 고용·상권 활성화 이끌어

현대차그룹과 광주창조경제혁신센터가 진행한 ‘전통시장 활성화 프로젝트’를 통해 새롭게 탈바꿈한 광주광역시 ‘1913송정역시장’ 앞에서 상인들과 방문객들이 18일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제공=현대자동차현대차그룹과 광주창조경제혁신센터가 진행한 ‘전통시장 활성화 프로젝트’를 통해 새롭게 탈바꿈한 광주광역시 ‘1913송정역시장’ 앞에서 상인들과 방문객들이 18일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제공=현대자동차


현대자동차그룹과 광주광역시가 손 잡고 출범시킨 ‘광주창조경제혁신센터’가 전통시장 창조경제화 사업의 모범을 제시했다.

현대차그룹은 광주창조경제혁신센터의 ‘전통시장 활성화 프로젝트’를 통해 재탄생한 광주 ‘1913송정역시장’을 18일부터 본격 개장한다고 18일 밝혔다. 이날 개장식에는 우범기 광주 광역시 부시장과 유기호 광주창조경제혁신센터장, 박광식 현대차그룹 부사장 등 관계자들과 시장상인 등이 참석했다.


현대차그룹은 전통시장 활성화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지키기 위한 변화’를 핵심 가치로 내세워 단순한 시설 현대화 대신 지역 특유의 문화를 되살리는데 초점을 맞췄다. 침체된 전통시장에 문화·디자인·ICT(정보통신기술)를 접목해 창조경제화 전통시장으로 변화시키는 한편 청년일자리 창출, 지역 상권 활성화를 이룩하는 등 서민생활 창조경제 플랫폼을 구축했다.

관련기사



우선 ‘송정역전매일시장’으로 불렸던 기존의 이름을 ‘1913송정역시장’으로 변경해 100년이 넘는 역사와 전통을 강조했다. 시장이 처음 만들어진 연도를 시장 이름에 활용함으로써 100년이 넘는 시장의 오랜 역사를 알리는 동시에 시장 상인 스스로 전통에 대한 자부심을 느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100년이 넘는 오랜 시간을 상징할 수 있는 대형 시계를 시장 입구 벽면에 세워 이 지역을 대표하는 조형물로 자리잡도록 했다.

이와 함께 시장이 가장 활성화됐던 1970~80년대의 모습을 최대한 살려 그 시절을 추억할 수 있는 체험형 공간으로 탈바꿈 시키는 데 중점을 두고 시장 내 총 55개의 점포를 리모델링했다. 또 20곳의 야시장 점포를 마련하고 매주 토요일 저녁에는 ‘토요 야시장’도 열 계획이다. 광주창조경제혁신센터 관계자는 “이번 전통시장 활성화 프로젝트를 통해 새롭게 태어난 1913송정역시장은 지역주민뿐 아니라 젊은층과 관광객들이 즐겨 찾는 광주 대표 명소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이번 프로젝트가 서민주도형 창조경제의 성공 모델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현대자동차그룹과 광주창조경제혁신센터가 진행한 ‘전통시장 활성화 프로젝트’를 통해 광주광역시 ‘1913송정역시장’이 새롭게 탈바꿈했다. 18일 시장 개장식에 참석한 유기호(왼쪽 네번째부터) 광주창조경제혁신센터장과 우범기 광주 광역시 부시장, 김동철 국회의원, 민형배 광주광역시 광산구청장, 배석용 1913송정역시장 상인회장, 박광식 현대차그룹 부사장이 테이프를 자르고 있다. /사진제공=현대자동차현대자동차그룹과 광주창조경제혁신센터가 진행한 ‘전통시장 활성화 프로젝트’를 통해 광주광역시 ‘1913송정역시장’이 새롭게 탈바꿈했다. 18일 시장 개장식에 참석한 유기호(왼쪽 네번째부터) 광주창조경제혁신센터장과 우범기 광주 광역시 부시장, 김동철 국회의원, 민형배 광주광역시 광산구청장, 배석용 1913송정역시장 상인회장, 박광식 현대차그룹 부사장이 테이프를 자르고 있다. /사진제공=현대자동차


서일범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