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O2O 산업 규제개선해야"…미래부, 정책해우소 개최

야놀자, 직방 등 O2O 서비스 주요 기업 관계자 참석

O2O와 전통산업 간 상생 발전 등 의견 제시

바이카, 야놀자, 직방, 카카오 등 O2O(온라인과 오프라인의 연계 서비스) 서비스 분야 주요 기업과 관련 전문가, 유관기관 관계자들이 지난 22일 경기 판교 사물인터넷(IoT) 혁신센터에서 산업 규제 개선과 발전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제12차 ICT 정책해우소’를 개최하고, 기념촬영을 하며 박수를 치고 있다./사진제공=미래창조과학부바이카, 야놀자, 직방, 카카오 등 O2O(온라인과 오프라인의 연계 서비스) 서비스 분야 주요 기업과 관련 전문가, 유관기관 관계자들이 지난 22일 경기 판교 사물인터넷(IoT) 혁신센터에서 산업 규제 개선과 발전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제12차 ICT 정책해우소’를 개최하고, 기념촬영을 하며 박수를 치고 있다./사진제공=미래창조과학부


24일 미래창조과학부는 지난 22일 경기 판교 사물인터넷(IoT) 혁신센터에서 국내 O2O(온라인과 오프라인의 연계 서비스) 산업 규제 개선과 발전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제12차 ICT 정책해우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바이카’, ‘야놀자’, ‘직방’, ‘카카오’ 등 이자리에 참석한 O2O 서비스 주요 기업들은 최근 논란이 된 숙박·차량 등 공유경제 관련 규제 개선을 중심으로 O2O와 전통산업 간 이해관계 충돌, 소상공인과의 상생 발전 등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다. 또 미래부가 시행 중인 정보통신기술(ICT) 융합 기술·서비스에 대한 신속처리·임시허가 제도에 대한 기대감을 표시하고 적극적인 적응을 주문했다.


아울러 O2O 산업 진흥을 위한 법률 컨설팅, 공공정보 제공 등 정부의 지원 확대와 민·관 규제개선협의체 구성으로 현장의 애로사항을 신속히 반영하는 방안도 내놨다.

관련기사



이 자리에 참석한 김동수 숭식대학교 교수는 “단일 중개 서비스로는 안정적 비즈니스 모델 창출이 어렵다”며 “소비자에게 제공할 부가가치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재유 미래부 2차관은 “현장 중심의 O2O 산업 육성정책을 지속적으로 발굴·추진하겠다”며 “O2O 기업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도록 정책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권용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