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재해 근절하자"…현대중공업, 안전관리 비용 500억 늘린다

지난 20일 하루 동안 조업을 전면 중단한 현대중공업 임직원들이 사업장 안전 상태를 점검하고 있다. 현대중공업은 5년간 안전 관련 예산을 2,500억원에서 3,000억원으로 늘리고 안전경영실을 신설하는 등 연이은 사업장 재해를 뿌리뽑기 위한 안전관리 종합대책을 25일 발표했다. /사진제공=현대중공업지난 20일 하루 동안 조업을 전면 중단한 현대중공업 임직원들이 사업장 안전 상태를 점검하고 있다. 현대중공업은 5년간 안전 관련 예산을 2,500억원에서 3,000억원으로 늘리고 안전경영실을 신설하는 등 연이은 사업장 재해를 뿌리뽑기 위한 안전관리 종합대책을 25일 발표했다. /사진제공=현대중공업




현대중공업이 사업장 안전문화 정착을 위한 ‘안전관리 종합 대책’을 마련했다.

현대중공업은 △안전투자 확대 △안전조직 강화 △안전교육 확대 및 제도 개선 △상생·협력 안전문화 구축 등 4가지를 골자로 한 안전 종합 대책을 25일 공개했다.


주요 내용을 보면, 우선 현대중공업은 안전보호용품 구입과 안전교육, 종업원 건강검진 및 보건활동 등에 투입되는 안전 관련 예산을 5년간 2,500억원에서 3,000억원으로 늘리기로 했다. 현대중공업 관계자는 “어려운 경영 여건에도 불구하고 노후시설 교체를 포함한 안전시설 투자에 500억원을 추가로 투입하기로 했다”며 “연이은 중대 재해를 근절하기 위한 결단”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안전조직 역시 강화한다. 경영지원본부 소속인 안전환경부문을 독립조직인 안전경영실로 개편하고 책임자에 본부장급 이상 임원을 앉히기로 했다. 또 각 사업본부에서도 대표들이 직접 안전담당 부문을 직속으로 거느리고 본부별 세부 안전관리를 챙기도록 했다. 여기에 외부 전문가로 구성된 ‘안전혁신 자문위원회’를 설치해 주기적으로 이들의 진단을 받아 안전 정책에 반영할 계획이다.

이밖에도 현대중공업은 1박2일의 집중적인 안전 교육과정인 ‘안전아카데미’를 새로 설치하고 안전과 관련한 징계·포상 제도를 강화한다. 또 협력사에도 안전관리 전담자를 의무적으로 배치하는 등 협력사 안전관리도 크게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이종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