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정책

부동산PF 채무보증 15조...진웅섭, 증권사에 옐로카드

금융투자 산업발전 토론회서

유동성·건전성 악화 우려 표명

진웅섭 금융감독원장진웅섭 금융감독원장




진웅섭 금융감독원장이 증권사들의 채무보증이 급격히 증가한 것에 대해 ‘옐로카드’를 꺼내 들었다.

진 원장은 25일 금융투자협회에서 황영기 협회장과 12개 증권사 대표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금융투자 산업발전 대토론회’에서 “증권사 채무보증의 양적·질적 위험수준이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다”며 “스스로 잠재 위험 요인을 분석해 대응하고 내부 통제가 실질적으로 작동할 수 있게 힘을 쏟아달라”고 강조했다.


진 원장은 “전체 채무보증의 약 62%인 15조원이 부동산 PF 관련 매입보장 약정 등과 관련돼 있다”며 “부동산 경기 악화, 시장 유동성 경색 등으로 채무보증 이행률이 급증하면 증권사의 유동성과 건전성이 급속히 악화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실제 금감원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증권사 전체 채무보증 규모는 24조2,000억원으로 지난 2013년 3월 말보다 13조2,000억원 증가했다. 지난해 말 자기자본 대비 채무보증 비율도 52.6%로 2013년 3월 말보다 19%포인트 상승했다.

관련기사



진 원장은 최근 대형 증권사들의 잇단 인수합병(M&A)으로 인한 리스크 확대에도 주의를 기울여달라고 당부했다. 진 원장은 “증권사 대형화는 자본력을 바탕으로 신용 공여, 대형 인수합병 참여, 해외 진출 확대 등의 장점이 있지만 시스템 리스크의 확대와 경쟁 제한 등 부작용도 우려된다”며 “대형화를 추진하는 증권사는 수준 높은 위험 관리 체계를 구축하고 수익 추구와 위험 관리 간에 균형을 찾는 세심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최근 금융투자업계가 요구하고 있는 홍콩항셍중국기업지수(HSCEI)를 기초자산으로 한 주가연계증권(ELS) 발행 제한 완화에 대해서는 ‘쏠림 현상’이 여전해 수용하기 어렵다는 뜻을 재확인했다. 진 원장은 “특정 지수 쏠림 심화는 위험회피 과정에서 가격 변동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면 증권사의 건전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며 “시스템 리스크로 확산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고 잘라 말했다.

김민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