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中·印 향후 10년 세계 경제성장의 3분의 1 담당...한국은 1.3%

앞으로 10년간 세계 경제 성장의 3분의 1 가량은 중국과 인도가 담당하게 될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됐다. 특히 경기 둔화에도 불구하고 세계성장에 대한 중국의 기여도는 앞으로도 가장 클 것으로 전망된다.

25일 영국의 경제분석기관인 옥스퍼드 이코노믹스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부터 2025년까지 향후 10년간 세계 국내총생산(GDP) 성장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26.1%로 전 세계에서 가장 클 것으로 예상됐다. 이는 2010년 고정 환율로 환산한 실질 GDP 기준으로 추정한 것이다. 뒤이어 미국과 인도가 각각 15.6%, 8.1%를 차지할 전망으로, 중국과 인도의 비중을 합치면 전체의 34.2%에 달한다. 구매력평가(PPP) 환율을 반영한 GDP 기준으로는 중국·인도 비중이 총 40%를 웃돌게 된다고 옥스퍼드 이코노믹스는 설명했다.

아시아 주요국 중에서는 인도네시아가 2.9%로 상대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브라질과 일본, 멕시코가 각각 1.7%의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됐다. 한국은 스페인과 비슷한 수준인 1.3%로 예상됐다.


옥스퍼드 이코노믹스는 또 이와 별도의 분석에서 2015~2024년 전 세계 GDP 성장률이 연 3.5% (PPP 환율 기준)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2000~2014년의 연 3.8%보다는 낮지만 금융위기 이후인 2007~2014년의 연 3.4%보다는 소폭 높은 수준이다. 같은 기간 신흥국의 성장률은 연 4.5%로 앞선 10년(2000~2014년)의 연 6%보다 낮아질 것으로 예상됐다. 중국의 성장세는 지난 10년간 연 10%에서 앞으로는 연 5~6%로 둔화할 것이라고 옥스퍼드 이코노믹스는 내다봤다.

관련기사



주요국 잠재성장률은 향후 10년간 인도가 중국을 앞지를 것으로 예상됐다. 중국의 잠재성장률은 지난 10년간(2005~2014년)의 연평균 9.4%에서 향후 10년간(2015~2024년) 5.5%로 크게 둔화하는 반면 인도는 7.1%에서 6.2%로 둔화폭이 크지 않을 것이라고 옥스퍼드 이코노믹스는 분석했다. 한국의 잠재성장률은 지난 10년간 연평균 3.3%에서 앞으로 10년은 2.2%로 낮아질 것으로 전망됐다.

옥스퍼드 이코노믹스의 애덤 슬레이터 이코노미스트는 중국은 성장 속도가 2000년대 초의 절반으로 둔화하겠지만 세계 경제에 미치는 기여도는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며, 글로벌 생산성도 중국과 인도 등 주요 신흥국이 견인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글로벌 생산성을 측정하는 총요소생산성(TFP)는 향후 10년간 중국과 인도 등이 연 1.5%로 가장 높은 수준을 보일 것으로 예상됐다. 한국의 10년간 TFP는 연 1.4% 정도로 인도, 중국 다음으로 높은 수준일 것으로 전망됐다.

한편 생산가능인구의 성장 기여도는 많은 나라에서 줄어들겠지만 특히 대만, 한국, 홍콩에서 향후 10년간 마이너스로 돌아서 성장에 부담이 될 것이라고 보고서는 경고했다.

신경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