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중국-대만 물량공세...삼성디스플레이 점유율 5위로 뚝

대형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한국의 주도력이 중국과 대만 연합군 공세에 흔들리고 있다. LG디스플레이가 26분기 연속 1위를 유지했지만 삼성디스플레이의 점유율은 5위까지 떨어졌다.


25일 시장조사기관 IHS에 따르면 1·4분기 대형(9인치 이상) LCD 패널 시장(출하량 기준)에서 LG디스플레이가 3,749만대, 24.3%의 점유율로 26분기째 1위를 차지했다. 이어 중국의 BOE가 17.3%(2,666만대), 대만의 AUO 15.8%(2,444만대), 대만의 이노룩스 14.8%(2,291만대) 등이 뒤를 이었다.

관련기사



LG디스플레이와 함께 양강 체제를 구축했던 삼성디스플레이는 1·4분기 2,243만대를 출하해 14.5%의 점유율로 5위에 그쳤다. 지난해 1·4분기(19.2%)와 비교하면 점유율은 4.8%포인트 하락한 것이다. 삼성디스플레이가 대형 패널 시장에서 분기 기준 5위로 처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지난해 전체 대형 LCD 패널 시장에서 1억2,156만대를 출하해 이노룩스에 이어 사상 첫 3위로 내려간 바 있다. 1·4분기 한국의 점유율은 38.8%로 중국과 대만 연합군(47.9%)에 큰 폭으로 뒤지면서 대형 패널 시장에서의 ‘메이드 인 코리아’ 위상이 흔들리는 모습이다.

삼성디스플레이의 부진은 액정표시장치(LCD) 패널 공정 전환 과정에서의 수율 하락이 영향을 미쳤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원가 개선을 위해 공정 마스크 수를 줄이고 유리기판 두께를 기존 0.5T(mm)에서 0.4로 전환하고 있다. 대형 모니터 및 노트북 시장 수요가 감소하고 있는 데다 삼성전자가 이 시장에서 서서히 발을 빼면서 정보기술(IT) 부문에서도 출하량이 줄었다. 이와 관련해 삼성디스플레이는 지난해 말 천안공장의 5세대 라인을 폐쇄하고 장비를 중국업체에 매각하는 등 전체 LCD라인 8개 중 5개의 문을 닫았다.

김현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