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생활

정용진·정유경, 신세계·이마트 주식교환

정용진-이마트, 정유경-백화점 후계구도 굳히기 분석

신세계 그룹 측은 "책임경영 강화" 주장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과 정유경 신세계 총괄 사장이 각자 보유한 신세계·이마트 주식을 교환하면서 서로 얽혀 있던 지분 관계를 완전히 청산했다. 업계에서는 정 부회장의 이마트와 정 총괄 사장의 백화점 부문으로 신세계그룹의 후계구도가 완전히 굳히기에 들어간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신세계는 29일 정 부회장이 보유한 신세계 주식 72만203주 전량을 시간외매매를 통해 정 총괄 사장에게 매도했다. 처분 가격은 이날 종가인 1주당 21만1,500원으로 총 1,523억원 규모다.

이마트도 이날 정 총괄 사장이 보유한 주식 70만1,203주 전량을 정 부회장에게 시간외매매로 팔았다. 역시 이날 종가인 1주당 18만3,500원에 처분했으며 규모는 총 1,287억원이다.


이번 주식 교환으로 정용진 부회장의 신세계 지분은 모두 사라진 대신 이마트 지분율은 7.32%에서 9.83%로 상승했다. 반대로 정유경 총괄 사장의 이마트 지분은 모두 없어지고 신세계 지분율이 2.51%에서 9.83%로 급등했다.

관련기사



정 총괄 사장은 이전까지 신세계 지분율이 정 부회장(7.32%)보다 낮았으나 이번 주식 스와프(맞교환)로 백화점 부문만큼은 확실한 주도권을 쥐게 됐다는 분석이다.

신세계그룹은 지난해 말 조직 개편을 통해 백화점 부문과 이마트 부문을 신설하고 정유경 부사장을 백화점 부문 총괄 사장으로 승진시켰다. 또 이명희 회장의 장남인 정 부회장이 그룹 총괄과 이마트 사업을, 정 부회장의 여동생인 정 총괄사장이 백화점과 면세점 사업을 주로 맡는 쪽으로 후계구도가 정리된다는 해석이 나오기도 했다. 이번 주식 교환은 이런 분석에 힘을 싣는 조치인 셈이다.

신세계그룹 측은 이 회장이 여전히 이마트와 신세계 모두의 최대주주 자리를 지키고 있는 상황에서 확대 해석을 경계하고 있다. 이 회장은 현재 이마트와 신세계 모두 18.22%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신세계그룹 관계자는 “이번 지분 교환은 지난해 12월 임원인사 및 조직 개편을 통해 밝힌 각 사 책임경영을 한층 더 강화하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




정유경 신세계 총괄 사장정유경 신세계 총괄 사장


윤경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