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획정위 2일 단일안 도출…‘2+2’ 회담 무산에 쫓기는 與

선거구획정위원회가 2일 선거구 단일안을 발표할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느긋한 새정치민주연합과 달리 새누리당은 분주하기만 하다. 획정위가 현행 지역구 규모와 비슷한 246석 또는 249석 수준의 획정안을 발표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농어촌지역구’ 사수가 당론인 새누리당이 다급한 모양새다.


원유철 새누리당 원내대표는 1일 대표·원내대표가 참여하는 ‘2+2’ 회담을 새정연에 제안했지만 거절당했다. 권역별비례대표와 농어촌 지역구 등 선거구 획정기준 개정을 위한 회담 제의였지만 야당은 ‘시선 돌리기’라며 일축했다. 당 관계자는 “청와대가 김무성 대표와 문재인 대표의 회담을 무산 시켰는데 우리가 다시 회동을 가질 이유가 없다”고 설명했다. 청와대와 김무성 대표 간 내홍을 좀 더 지켜보겠다는 해석이다.

관련기사



새누리당이 분주한 이유는 획정위가 2일 선거구 획정안을 발표하기 때문이다. 수도권 지역구가 늘고 농어촌 지역구가 줄어 현행 지역구 규모와 비슷할 것으로 예상된다. 새누리당은 농어촌 지역구 수가 줄게 되면 텃밭인 영남과 강원의 의석수가 줄게 돼 이를 막아야 한다는 입장이다. 선거구획정위는 여야 합의로 농어촌 지역 예외를 둔 선거구 획정기준을 개정하지 않는다면 현행 선거구 획정기준과 헌법재판소의 선거구간 인구편차 2:1 결정에 따라 획정할 수밖에 없다고 주장한 바 있다.

이와 관련 새정연은 의원정수가 300석으로 확정된 상황에서 비례대표 수는 절대 줄일 수 없다며 맞서고 있다. 정개특위 관계자는 “비례대표 수를 조금 줄일 수 있지만 그 조건은 권역별 비례대표 도입”이라고 설명했다. 정개특위는 여야 동수로 구성돼 여야 합의 없이는 한 발짝도 움직일 수 없는 상황이다. 일각에선 “문 대표가 추석 연휴 중 김 새누리당 대표를 만나 오픈프라이머리의 탈출구를 열어준 만큼 김 대표가 문 대표에게 무언가를 내놓을 수 있다”고 예측했다./박형윤기자manis@sed.co.kr

박형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