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2,800여종 지방세외수입 관리시스템 하나로 통합

제각각 운영되던 ‘지방세외수입’ 관리시스템이 하나로 통합된다. 지방세외수입은 자치단체가 주민들에게 공공시설 사용료, 환경개선부담금, 교통유발부담금 등을 부과하는 일종의 세금이다.

행정자치부는 “자치단체 세외수입을 체계적으로 부과 징수하기 위해 지방세외수입 통합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라고 2일 밝혔다. 지자체가 공공시설 사용료, 환경개선부담금, 교통유발부담금 등의 2,860여종을 부과·징수하는 지방세외수입은 2016년 기준 21조원에 달하고 전체 지방예산의 11.7%를 차지할 만큼 지방재원의 큰 부분이다.


하지만 이를 관리하는 시스템은 세외수입 종류에 따라 표준지방세외수입시스템, 새올시스템, 자치단체 개별시스템 등 분리 운영됐다. 이에 전체적인 체납액 확인, 징수 등에 어려움이 있다는 지적을 받았다.

관련기사



이에 따라 행자부는 지방세외수입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 통합시스템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우선 현 세외수입 업무처리 체계 및 정보시스템의 현황을 분석하고 법·제도 및 처리절차 개선방안 등에 대해 검토할 예정이다. 이후 관련 기관, 전문가 협의를 거쳐 3개년 계획으로 통합시스템을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행자부 관계자는 “세외수입 통합시스템이 구축되면 체납액 징수가 한결 더 쉬워지고 정확한 통계를 통한 국가적 정책 및 의사결정 지원의 편의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완기기자 kingear@sedaily.com

이완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