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정부 올해 中企제품 86조 구매

공공기관 전체 구매액의 71%…작년보다 2,000억 늘어





정부와 공공기관, 지방자치단체가 올해 약 86조원 규모의 중소기업 제품을 공공구매하기로 했다.


중소기업청과 조달청은 공공조달시장 개선을 통해 중소·중견기업의 글로벌화를 추진하고 창업 초기 기업의 공공조달시장 진입을 활성화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협력 양해각서(MOU)를 맺었다.

중기청은 3일 ‘2016년도 중소기업제품 공공구매 목표안’을 발표했다.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공기업을 비롯한 공공기관은 올해 85조7,000억원의 중소기업 제품을 구매하게 된다. 이는 공공기관 총 구매목표액(119조9,000억원)의 71.5%로 지난해 구매액보다 2,000억원 늘어난 수치다.

중기청은 올해 기술개발제품과 여성기업제품·장애인기업제품 등 우선 구매 제품의 구매율을 법정비율보다 높게 설정했다.


기술개발제품 구매목표는 3조4,800억원으로 지난해보다 3,700억원 늘었다. 여성기업제품 구매목표는 6조9,000억원, 장애인기업제품 구매목표는 1조400억원으로 책정됐다.

관련기사



중기청은 중기 제품의 품질개선을 위해 중소기업자간 경쟁제도 개선안을 만들고 우수한 중소기업들이 공공시장에 안주하지 않고 해외시장으로 진출할 수 있도록 수출기업화 방안도 마련하기로 했다.

또 올해부터 기술개발제품 구매가 의무화됨에 따라 공공기관의 실적관리를 강화하기로 했으며 공공구매제도 위반 사례가 적발되면 시정조치 권고 없이 즉시 입찰절차를 중지할 수 있는 제도도 7월에 신설하기로 했다.

중기청은 나라장터 입찰시스템에 사전 스크린 기능을 도입해 제도에 적합한 입찰만 게시되도록 시스템을 개편하기로 했으며 위법한 입찰공고에 대해서는 원천차단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이날 중기청과 조달청은 정부조달시장을 발판으로 중소·중견기업들이 해외시장에 활발히 진출할 수 있도록 협력체제를 구축하기로 했다.

이들 기관은 ▦공공조달시장을 통한 중소기업 글로벌화 △협력사업 추진 △창업 초기기업의 조달시장 진입지원 △구매조건부 기술개발 지원 등에 대해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서정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