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화면 밖으로 뛰쳐나온 가상현실

건기연, 빔프로젝터 이용

3차원 도면 이미지 구현

연극·관광안내에 사용도

기어VR와 같은 가상현실(VR) 기기들이 대중에게 보급되면서 디지털 화면(디스플레이 장치)을 통한 입체 영상 기술이 VR의 주류가 됐지만 VR의 시각 기술은 평면 디스플레이를 이미 뛰쳐나오고 있다.


그 단적인 사례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을 통해 찾아볼 수 있다. 이 연구원은 건설 도면 등에 VR 기술을 적용해 건물이 완공된 듯한 모습을 미리 볼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최근 개발했다. 해당 기술은 디스플레이에 영상 정보를 송출하는 게 아니라 빔프로젝터로 직접 허공에 영상을 쏴 3차원의 이미지를 현실에 구현하는 방식을 채택했다. 건기연 관계자는 “VR 기기 등은 바로 앞 시야만 볼 수 있다면 이곳에서 구현한 기술은 실제로 움직여보고 더 넓은 시각을 가지고 VR를 체험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사실보다 실험적인 시도가 이미 20여년 전에 국내에서 진행되기도 했다. 1990년대에 이미 ‘가상현실연극’이 시연됐던 것이다. 당시의 VR는 디스플레이에 이미지를 보여주는 식이 아니라 컴퓨터로 연극을 제작하고 직접 참여할 수 있는 새로운 양식의 예술적 실험이었다. 2000년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은 3차원 특수안경을 착용하고 객석 의자에 장착된 조작키를 이용해 연극을 디지털로 보는 VR 공연도 시도하기도 했다. 이 같은 흐름은 최근까지도 이어지고 있어 국내에서는 ‘가상현실 예술’이라는 용어가 등장할 정도다.

VR는 보다 실용적인 분야에서 제한적으로나마 응용되기 시작했다. 예를 들어 기업소개 및 지역관광 안내 사이트에도 VR를 다소 적용한 사례들이 나오고 있다.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 사이트를 방문하면 특정 공간을 현장에서 보듯 360도로 둘러볼 수 있다. 게임업계에서는 이미 VR를 기반으로 한 콘텐츠 제작 열풍이 불고 있다. 다만 그 몰입도가 지나쳐 자칫 이용자들의 정신건강을 해칠 수 있다는 우려도 높아지는 추세다.

권용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