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정책

<국책은행 자본확충 시나리오>시중銀 '구조조정 실탄' 준비나섰지만...조선업 수술커질 땐 손실 불가피할듯

은행들 리스크는...

4대 대형銀 1분기 충당금 60%

조선·해운업 '선제 대응'에 집중

"심각한 충격 없을 것"진단 불구

조선업 하청업체까지 정리 땐

여신 재분류 등 손실 확대 가능성



국책은행 중심의 조선·해운업종에 대한 구조조정 작업이 본격화된 가운데 시중은행들이 떠안아야 할 구조조정 리스크가 어느 정도가 될지 금융권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일각에서 조 단위의 손실 가능성이 거론되는 가운데 시중은행들은 올해 1·4분기 대손충당금의 절반 이상을 조선·해운업종에 쌓으며 선제적 대비에 나섰다. 은행 리스크책임자(CRO)들도 시중은행이 국책은행처럼 심각한 충격을 받지는 않을 것으로 진단하고 있다. 다만 구조조정 방향에 따라 일부 추가 손실은 불가피할 것으로 관측된다.

대형 시중은행들은 올해 들어 현대상선을 비롯해 STX조선 등 이미 구조조정이 진행 중인 조선·해운 기업 익스포저에 대해서는 대부분 충당금을 전액 쌓아 대비해놓았다. 다만 한진해운의 경우 추가적인 충당금 적립이 불가피하고 대우조선해양 역시 ‘정상 기업’으로 간주하고 있어 향후 구조조정 상황에 따라 추가 충당금 적립 가능성이 높다. 시중은행 가운데 가장 건전성이 좋은 신한은행의 조용병 행장까지도 최근 기자간담회에서 “기업 구조조정으로 자산건전성이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충당금을 더 쌓아야 한다”고 밝히기도 했다.


8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KB국민·우리·KEB하나은행 등 4대 대형 은행들은 올 1·4분기에 쌓은 약 6,000억원가량의 충당금 가운데 60%가량을 조선·해운업종에 집중했다. 은행별로 보면 신한은행이 2,185억원으로 가장 많은 충당금을 쌓았는데 약 1,200억원가량을 조선·해운업종에 집중한 것으로 알려졌다. 신한은행은 현대상선 익스포저 100억원 전액에 대해 충당금을 쌓았고 한진해운의 경우 125억원의 선박금융만 들고 있어 해운사 구조조정 리스크는 상쇄된 상황이다. 신한은행은 특히 지난 3월 말 기준 부실채권(NPL) 커버리지 비율이 167%에 달해 은행권에서는 부실채권에 대해 가장 두툼한 방어벽을 쳐놓았다.

관련기사



KB국민은행 또한 NPL 커버리지 비율이 156.8%로 양호하고 지난해 말부터 조선·해운업종에 대규모 충당금을 미리 쌓아뒀다. 국민은행 고위관계자는 “국민은행의 경우 올해 1·4분기 부도시손실률(LGD) 변경에 따라 충당금이 1,700억원 환입됐지만 조선·해운 리스크에 선제적으로 대비하기 위해 이 분야에만 1,300억원 (충당금을) 더 쌓았다”고 밝혔다. 국민은행은 현대상선 여신의 경우 ‘회수 의문’으로 분류해 590억원 전액을 충당금으로 쌓았고 한진해운에 대한 익스포저 550억원에 대해서도 이미 190억원가량을 충당금으로 쌓으며 구조조정 리스크에 차곡차곡 대비를 해놓은 상황이다.

대기업 여신의 비중이 높은 KEB하나은행과 우리은행의 경우 국민은행이나 신한은행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상황이 어렵다. 두 은행의 NPL 커버리지 비율은 각각 121.9%, 126.5%로 신한과 국민은행보다 다소 낮다.KEB하나은행은 현대상선 익스포저 662억원의 절반가량은 충당금으로 쌓았지만 한진해운 익스포저 860억원에 대해서는 충당금이 거의 적립되지 않은 상태다. 우리은행 역시 고정 이하 여신 비율이 성동조선·STX조선 등 구조조정 조선 4사를 제외할 시 1.03%지만 조선 4사를 포함하면 1.38%로 상당히 높아진다. 특수은행인 농협은행의 경우 이보다도 상황이 훨씬 열악한 가운데 김용환 농협금융지주 회장이 ‘빅배스(대규모 충당금 적립)’ 카드를 꺼내 들었다.

은행들은 하반기 조선업 구조조정 향방이 어떻게 진행되느냐에 따라 은행권 손실 규모가 달라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해운사 리스크는 대비를 해놓은 상황이지만 대우조선 등 조선 3사와 1~2차 하청업체, 일부 취약업종에 대해서는 모두 정상 기업으로 여신을 집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지난해 금융당국의 압박으로 대우조선에 대한 시중은행들의 여신 한도가 모두 복원된 상태라 대우조선에 대한 자산 건전성 재분류 작업 등이 진행되면 타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윤홍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