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정책

아이폰 보험료 최대 50% 오른다

금감원, 휴대전화 보험료율 차등 산출 권고

타 제조사 휴대폰 보험료는 10~20% 인하 전망

이르면 7월부터 애플의 아이폰 기종에 대한 분실·파손 보험료가 최대 50%까지 인상된다.

금융감독원은 현행 휴대전화 보험이 제조사별로 서로 다른 A/S(사후서비스) 정책에 따른 비용 차이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에 따라 수리 방식별로 보험요율을 차등 산출, 적용할 것을 보험업계에 권고했다고 9일 밝혔다.


금감원에 따르면 휴대폰 고장시 부품을 수리해주는 A/S 방식에 비해 리퍼폰을 제공하는 방식은 비용이 2~3배 더 든다. 이 때문에 부품 수리 방식의 손해율은 58.0%인데 비해 리퍼폰 방식은 151.4%로 3배 가까이 차이가 난다. 김동성 금감원 보험감리실장은 “손해율이 낮은 휴대전화 기종 소비자가 손해율이 높은 기종의 휴대전화 보험료를 부담하고 있는 셈”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보험업계에서는 금감원의 권고에 따라 휴대전화 보험료 체계를 개편하면 애플의 아이폰 보험료는 현행 대비 최대 50% 오르고, 다른 제조사 휴대전화는 10~20% 가량 낮아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변경된 보험료율은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의 경우 이르면 오는 7∼8월, KT는 내년 초부터 적용될 예정이다.

이와 함께 금감원은 소비자 선택권 강화를 위해 휴대폰 파손만 보장하는 저렴한 보험 상품을 늘리도록 업계에 권고하고, 휴대폰 수리비용 청구절차 간소화를 추진하기로 했다.

정영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