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세월호 '기억교실' 이전 보존 합의

4·16안전교육시설 건립 협약식

세월호 희생 학생들이 사용하던 단원고등학교 ‘존치교실’(기억교실) 이전 문제가 사회적 합의로 타결됐다.

기억교실 또는 추모교실로도 불리는 단원고 존치교실은 지난 2014년 4월 세월호를 타고 수학여행을 떠나기 전까지 당시 2학년 학생들이 사용하던 교실 10칸이다. 교실은 참사 전 학생들이 사용하던 모습 그대로 보존돼 있으며 방문객이 남긴 추모 메시지와 선물 등이 남아있다.

경기도교육청은 9일 단원고에 존치된 희생자 교실 이전 동의와 협약기관의 상호 협력 사항이 포함된 ‘4·16안전교육시설 건립을 위한 협약식’을 가졌다.


이날 협약식은 김광준 한국종교인평화회의(KCRP) 사무총장(성공회 신부)의 사회로 남경필 경기도지사, 이재정 경기도교육감, 윤화섭 경기도의회 의장, 전명선 416가족협의회 운영위원장, 제종길 안산시장, 노선덕 안산교육장, 정광윤 단원고 교장 등이 협약기관 대표로 참석했다.

관련기사



이번 협약은 세월호 참사가 남긴 교육의 과제를 해결하고 참사의 교훈을 통해 교육을 성장시키는데 서로 협력하겠다는 뜻을 모아 이뤄졌다.

협약주체 측은 4·16안전교육시설의 건립·운영과 추모행사 지원, 존치교실의 한시적 보존·관리와 단원고·안산교육 발전, 추모조형물 조성과 단원고 학교운영 참여협의체 운영 등의 협력 사항을 성실히 이행하기로 약속했다. 416가족협의회는 단원고 존치교실을 안산교육지원청 별관에 한시 보존하고 4·16안전교육시설 건립 후 이전하는 것에 합의했다.

도교육청은 “이번 협약식은 사회적 합의를 통해 아픔을 승화하고 양보와 협력의 대승적 합의를 이뤄낼 뜻깊은 행사”라며 “관련 주체 모두 이번 합의와 약속을 잊지 않고 4·16 참사의 교훈을 되새기며 새로운 교육에 대한 실천을 통해 발전하리라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단원고 재학생 학부모들은 학습권을 보장해달라며 ‘보존’을 주장하는 416가족협의회 측과 갈등을 빚어왔다. /안산=장현일기자 hichang@sedaily.com

장현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