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KAIST 김필남 교수팀, 뇌종양 3차원 모델 개발

KAIST 연구진이 악성 뇌종양 진행과정을 몸 밖에서 실험할 수 있는 3차원 종양 모델을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KAIST는 바이오 및 뇌 공학과 김필남 교수팀이 세포를 배양할 수 있는 3차원 매트릭스에 히알루론산(HA) 등 실제 뇌종양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추가하는 방식의 3차원 체외 뇌종양 모델을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연구진은 또한 이 모델을 활용해 환자 유래 뇌종양 세포를 이식하고 항암제 성분을 투여하는 실험을 통해 뇌종양이 약물을 극복하고 주변 조직으로 침투해 확산하는 능력을 획득하는 과정을 확인했다.

관련기사



악성 뇌종양은 주변 조직으로 침투, 확산하는 특성이 강해 치료가 어려운 질병 중 하나인데 수술로 종양을 제거해도 주변 조직에 침투한 잔여 세포들이 재발하는 경우가 많아 치료 효율과 생존율을 높이려면 잔여 세포를 표적으로 한 치료법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김 교수는 “이번 연구는 뇌종양의 체외 종양 모델로서 공학적 기술 기반의 3차원 미세환경 암 모델을 제시한 것”이라며 “앞으로 종양의 기존 약물 저항성 원인을 밝혀내는 기반이 되고 환자 맞춤 약물 검증 등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대덕=구본혁기자 nbgkoo@sedaily.com

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