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만파식적]대통령의 아프리카行

1315A39 manpa1315A39 manpa




노무현 전 대통령은 2006년 3월 초 이집트·나이지리아·알제리 등 아프리카 3개국 순방에 나선다. 청와대가 밝힌 순방 목적은 외교 지평의 확대였다. 그러나 당시 우리 외교는 4강 외교와 한반도 주변국에 초점을 맞추던 때라 대통령의 8박9일 장기 해외순방은 지나치게 한가로워 보이기까지 했다. 특히 순방 전날 ‘3·1절 골프’ 논란으로 이해찬 총리가 청와대에 ‘사의’까지 전달할 정도로 정국이 혼란스러웠으니 먼 아프리카로 훌쩍 떠나는 대통령의 출장에 대해 여론 반응이 고왔을 리도 만무했다.


그러나 이 아프리카 순방은 떠오르는 아프리카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고민의 일환이었다. 그러잖아도 2000년 이후 아프리카는 풍부한 천연자원과 젊은 노동인구의 공급을 결합해 연 5%대의 성장을 구가하는 세계 경제의 ‘마지막 성장 엔진’으로 주목받고 있었다. 내부적으로도 아프리카 각국은 정치민주화에다 유엔에 해당하는 아프리카연합(AU)까지 구성하면서 정치불안의 ‘오명’을 씻기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관련기사



당시 중국·인도·일본 등 우리 경쟁국들은 아프리카 시장에서 훨씬 앞서 가고 있었다. 중국은 비동맹외교 자산을 활용, 이미 1980년대부터 인프라 건설과 자원 확보를 연계해 진출했으며 인도는 200만명의 인도인 네트워크를 이용해 아프리카 경제협력에 정성을 기울였다. 일본 또한 1993년부터 도쿄에서 아프리카 개발 국제회의를 5년마다 개최하고 있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지난해 선물 보따리를 들고 이 지역을 방문한 것이나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뉴델리서 인도·아프리카 정상회의를 개최한 것도 같은 맥락이었다.

박근혜 대통령이 25일부터 에티오피아·우간다·케냐 등 아프리카 3개국을 순방한다. 박 대통령은 이 기간에 아디스아바바 소재 AU본부에서 우리 대통령으로서는 처음으로 특별연설까지 한다. 그럼에도 외교 지평 확대, 개발협력 확대 등 정부와 청와대가 밝힌 순방 목적은 10년 전과 별로 달라진 것이 없어 보인다. 이번 순방이 연례행사에 그치지 않고 10년 아프리카 정상외교의 결실을 보기 위해서라도 우리 외교당국의 좀 더 많은 고민과 아이디어가 필요하다. /온종훈 논설위원

온종훈 논설위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